냉전후 처음 ‘시민방위전략’추진
‘생존위협 테러 대비’ 긴장감 반영
‘생존위협 테러 대비’ 긴장감 반영
독일이 자국민들에게 외부의 공격이나 대형 재난 사태에 대비해 음식과 물을 비축해 둘 것을 권고하는 ‘시민방위전략’ 계획을 추진 중이다. 냉전 종식 이후 처음인 이 조처는 최근 잇따른 테러에 대한 대비책의 일환으로 보인다.
일간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과 <아에프페>(AFP) 통신 등은 독일 정부가 시민들에게 비상식량 비축과 유사시 군에 대한 협조 등을 뼈대로 한 민방위 계획을 추진 중이라고 21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독일 내무부의 ‘시민방위전략 개요’라는 문건을 인용해, 정부가 오는 31일 내각 회의에서 이런 계획을 의결할 것이라고 전했다. ‘시민방위전략’ 문건은 “독일 영토에서 전통적인 군사 방어를 요구하는 공격이 있을 것 같지는 않다”면서도 “미래에 (독일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는 사태 전개에 대비해 충분히 대응태세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경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시민들은 1인당 10일 분량의 식량과 5일 분량(약 2리터)의 물을 비축할 것을 권고한다”고 제시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독일 국방장관은 지난 11일 “독일이 테러리즘의 (조준경) 십자선에 놓여 있다”며 군과 경찰의 ‘밀접한’ 합동 작전을 강조한 바 있다.
독일은 과거 나치즘의 원죄의식과 악몽 탓에 지난 수십년간 민방위 문제에 대해선 극히 조심스러운 태도를 지켜왔다. 그러나 올 들어 독일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틀 안에서 자국의 역할을 확대하는 새로운 군사 로드맵을 세우고 있다고 <아에프페> 통신은 전했다.
조일준 기자 ilj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