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프랑스 파리 북역 인근 라리부아지에르 병원에 문을 연 합법적 마약 주사실에 설치된 마약 투약용 책상들 옆을 한 남성이 지나가고 있다. 마약 주사실에는 이런 책상이 10여개 마련되어 있다. 파리/AP 연합뉴스
프랑스 파리에서 ‘마약방’이 문을 열었다.
11일 파리 북역 인근 라리부아지에르 병원에서 정부가 마약 투약을 허용하는 공간이 생겨났다고 <아에프페>(AFP) 통신 등이 전했다. 이는 마약 중독자들이 불결한 주삿바늘을 사용해 질병에 감염되거나 과다 투약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정부가 제공하는 합법적인 마약 주사실을 뜻한다. 따라서 이곳에선 마약 투약을 해도 처벌받거나 경찰의 추적을 받지 않는다.
파리 마약 주사실은 독서실 책상처럼 생긴 10여개의 투약 책상을 갖추고 있으며, 의사와 간호사, 상담사 등 20여명이 상근한다. 이용자가 헤로인 같은 중독성 강한 마약을 갖고 오면 대체품으로 교환해주고, 소독이 된 투약용 주사기를 별도로 건넨다. 당국은 하루 200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1일 프랑스 파리 북역 인근 라리부아지에르 병원에 문을 연 합법적 마약 주사실에 주사기와 안내 팜플렛 등이 놓여 있다. 파리/AP 연합뉴스
프랑스 보건부 장관인 마리솔 투렌은 이곳을 방문해 “(마약) 중독 재앙과의 싸움에 중요한 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프랑스 정부는 앞으로 스트라스부르, 보르도 등 다른 도시에도 마약 주사실을 개설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마약 주사실은 1986년 스위스가 처음 개설한 이래 독일,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페인,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덴마크, 룩셈부르크 등에도 설치됐다.
프랑스 보건부 조사를 보면, 프랑스에서 마약 중독자들이 불결한 주사 등을 사용해 중독자 10%는 에이즈에, 40%는 C형 간염에 감염돼 있다. 하지만 우파인 공화당의 필리프 구종 의원은 <르 피가로>에 “우리는 (마약 중독) 위험을 줄이는 정책에서 마약을 일상적으로 투약하는 정책으로 옮겨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