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로 금융자산 빠질 가능성
메이 정부, EU분담금으로 방어 태세
메이 정부, EU분담금으로 방어 태세
영국 런던이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로 금융 허브 지위를 잃을지 모른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영국 정부가 단일시장 접근을 위해 유럽연합(EU) 탈퇴 뒤에도 유럽연합 분담금을 낼 의향이 있음을 내비치고 있다.
테리사 메이 총리의 영국 보수당 내각은 금융권 등 자국 핵심산업의 유럽연합 단일시장 잔류를 위해 유럽연합 탈퇴 뒤에도 유럽연합에 내는 분담금 성격의 예산 지원금 일부인 수십억파운드를 계속 부담할 뜻이 있다고 <파이낸셜 타임스>가 17일 보도했다.
영국 통계청에 따르면, 2010~2014년 연평균 유럽연합에 대한 영국의 순수 부담금은 71억파운드(약 10조원)로 나타났다. 앞서 ‘오픈 유럽’이라는 연구소는 영국이 브렉시트 협상에서 ‘패스포트’를 보장받지 못할 경우, 런던 금융기관들이 이르면 내년 말부터 영국 내 금융자산을 다른 곳으로 옮기기 시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가디언>이 16일 보도했다. 패스포트란 유럽연합 금융기관들이 자유롭게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패스포트가 없다면 은행들이 런던에 기반을 둘 이유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많은 은행들이 런던에서 미국 뉴욕이나 독일 프랑크푸르트, 싱가포르 등으로 옮길 것이라는 예측이 꾸준히 나왔다.
영국에선 유럽연합 탈퇴 여부를 묻는 지난 6월23일 국민투표에서 탈퇴 찬성파가 승리한 이후,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로 영국 경제가 유럽연합 단일시장 접근권을 잃어버려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많았다.
그러나 메이 총리는 지난 14일 잉글랜드 동북부에 현지 공장을 가진 일본 자동차 메이커 닛산에 브렉시트 이후에도 무역 조건의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다짐하는 등 주요 산업에 대해 브렉시트 파장으로부터 보호방침을 강구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