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민 자녀 학력저하 심해
프랑스 소요사태를 바라보는 독일인들의 심정이 착잡하다. 독일 사회 역시 적잖은 이주민 통합 문제를 안고 있고, 사회 불평등 문제도 심각하기 때문이다. 특히 계층에 따른 교육기회 불평등이 요즘 도마에 오르고 있다.
2000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인 ‘피사 테스트’에서 독일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 부모의 소득과 학생의 성적 간의 상관관계가 밀접한 것으로 나타나 한바탕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런데 2003년 ‘피사 테스트’를 분석한 결과, 그 정도가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성적과 학습능력을 지닌 15살 학생을 비교할 때 부유층 학생이 가난한 가정의 학생보다 대학 진학을 준비하는 인문계 학교에 들어갈 확률이 4배나 높았다. 부유층 학생들의 성적도 2000년 시험 때보다 훨씬 올라갔다.
반면 하위권 학생들의 학습능력 수준 미달은 심각하다. 학생 5명 중 1명은 독일어 독해능력이 떨어지고, 10 명 중 1명은 졸업을 하지 못하고 중도에 학교를 그만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민 자녀들의 언어문제에 따른 학습능력 부족도 이런 통계에 큰 몫을 한다.
이렇다 보니 저소득 가정 학생들은 주로 실업계 학교에 다니지만 졸업 후 진로가 밝지만은 않다. 견습사원 지원자의 절반만이 원하는 자리를 얻는다. 이들의 독일어 독해능력과 계산능력이 기업들의 요구수준에 못미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학력수준을 높이는 문제가 현안이 되고 있다. 그 핵심은 저소득 및 이주민 가정 학생들이다.
베를린/한주연 통신원 juyeon@gmx.de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