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국제경제

7개국 금리인하 ‘뭉쳐야 산다’ 공감…효과는 미지수

등록 2008-10-09 09:00수정 2008-10-09 09:30

유럽 증시 5~6% 하락…G7 재무장관 곧 회동
위급한 금융시장 상황이 결국 사상 유례 없는 국제공조를 이끌어냈다. 하지만, 시장은 보다 근본적 조처를 요구하는 듯 보인다.

8일 미국과 유럽중앙은행(ECB), 중국 등 7개국 중앙은행이 일제히 금리를 내리고 일본 중앙은행도 이를 강력히 지지하고 나선 데는 세계가 공조하지 않으면 공멸한다는 절박한 위기감이 있었다. 세계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이처럼 동시 금리인하에 협조한 것은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일이다. 이번 금리인하로 미국과 유럽연합 등은 이미 주요한 카드를 총동원했다.

이번 금리인하의 주요 목적은 신용경색이 악화된 시장에 유동성 공급을 확대하려는 것이다. 이론적으로 유동성 위기에 빠진 금융회사는 물론 기업과 가계도 금리인하 폭 만큼 자금조달 비용이 저렴해진다.

그러나 이미 2%의 저금리인 미국 정책금리가 1.5%로 내린다 해도 경색된 금융시장에서 제 효과를 낼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위기의 근본원인인 시장의 불안, 금융기관 부실, 주택가격 하락 등 자산거품 붕괴, 실물경제 악화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위기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 이번 조처는 시장이 붕괴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임시 ‘응급조처’ 성격이 강하다.

시장이 이미 한 나라가 통제하기엔 불가능할 만큼 커진데다 글로벌 네트워크로 촘촘히 얽혀 있기 때문에 국제공조만이 해법이라는 공감대가 나올 수밖에 없었다. 미국발 금융위기가 폭발한 지난 한 달 동안 미국과 유럽 각국 정부가 따로따로 시장 구제 대책들을 쏟아냈지만, 전세계 증시는 공포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했다. 7일까지 최근 5거래일 동안 다우지수는 1403.55포인트(13%)나 날아갔다. 지난 1년 동안 다우지수는 33%가 떨어졌다. 대공황 시기인 1937년 이후 한 해 최대 주가 내림폭이다. 8일 일본 증시가 9.38% 폭락하는 등 아시아 증시도 공황 상태다. 러시아 미섹스지수가 15.5% 폭락하자 정부는 10일까지 거래를 중지시켰다.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7일 영국·프랑스·이탈리아 등 3개국 정상들과 잇따라 전화 통화를 하는 등 공조를 이끌어내기 위해 발벗고 나선 것도 이 때문이다. 도쿄미쓰미시 유에프제이(UFJ)은행 런던지점의 통화 전략가 데렉 핼페니는 이 신문에 “각국 정부들이 상황의 엄중함을 인식하고, 공조 행동에 나서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며 “문제를 한 방에 해결할 수 있는 만병통치약은 없지만 연준의 회사채(CD) 매입과 영국의 구제금융, 그리고 중앙은행의 공동 금리인하는 각국 정부가 점점 더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평가했다.

동시 금리인하 발표 뒤에도 유럽과 미국 증시는 극심한 혼란을 보였다. 영국, 프랑스, 독일 증시는 5~6% 하락으로 마감했다. 8일 다우지수가 위·아래로 불안하게 요동치자 <뉴욕 타임스>는 투자자들이 국제공조 금리인하라는 호재와 심각한 경기후퇴를 피할 수 없을 거라는 악재 사이에서 저울질을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처가 단기적 처방은 되겠지만 이미 실물경제로 번진 위기에 근본적 처방이 되긴 어려우며, 추가적 조처들이 계속 나와야 한다고 지적한다. 경기후퇴를 피할 수 없다는 회의론도 만만찮다. 뉴욕의 클로벌캐피털매니지먼트의 펀드 매니저인 매튜 카우플러는 <블룸버그 뉴스>에 “이 혼란이 해결되려면 많은 사람들의 희망보다 긴 시간이 걸릴 거라는 게 불편하지만 진실”이라며 “수십년 만에 처음으로 경기 후퇴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은 10일 미국 워싱턴에서 만나 공동 대응책을 찾을 예정이다. 11일부터는 워싱턴에서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 합동연례회의가 열린다.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한겨레 관련기사]

▶금융 CEO들 “실물경제 위기 이미 진입했다”
▶한나라 구본홍·이봉화·공정택 ‘골칫덩이 3인방’ 어쩔꼬
▶[단독] ‘공정택 격려금’ 하나금융 김승유 회장도 줬다
▶한나라 ‘BBK 한겨레 보도’ 10억 소송 기각
▶[단독] 토지공사, 고양삼송부지 특혜 매각 의혹
▶[김선주칼럼] ‘고양아 여기 생선 있다 담넘어 와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