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각) 일리노이주 시카고 근교 크리스털 레에크를 방문해 연설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백악관은 미 기업·기관을 대상으로 잇따르고 있는 러시아 배후 추정 사이버 공격과 관련해, 조 바이든 대통령이 결심할 경우 대응할 수단은 다양하다고 7일(현지시각) 밝혔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일리노이주로 가는 대통령 전용기에서 기자들에게 “작전상 고려와 관련해 우리의 대응을 미리 말하는 것은 우리 이익에 맞지 않는다”면서도 “대통령은 행동을 취하기로 결정할 경우 다양한 선택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다양한 선택지가 무엇인지는 부연하지 않았다.
이 발언은 전날 알려진 공화당전국위원회(RNC)의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사이버 공격과 관련해 기자들이 ‘러시아의 미국 정치 개입에 대해 제재를 가하는 것을 여전히 유효한 수단으로 보느냐’고 묻자 내놓은 답변이다. 2016년 대선 때 러시아의 미 대선 개입과 관련해 바이든 정부가 러시아에 제재를 가한 것처럼, 이번에도 제재로 맞서겠냐는 질문이었다.
미 언론은 전날 공화당전국위의 컴퓨터 시스템이 이곳에 정보·기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가운데 한 곳인 시넥스(Synnex)를 통해 지난주 해커 집단의 공격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공격한 이들은 러시아 해외정보기관 대외정보국(SVR)의 해커집단 ‘ATP29’나 ‘코지 베어’에 소속된 것으로 알려졌다고 미 언론은 전했다. 사키 대변인은 이번 공격에 대해 연방수사국(FBI)과 사이버안보·기간시설안보국(CISA)이 조사를 하고 있으며, 공격 배후에 누가 있는지는 공식 판단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최근 미국에서 정육회사 제이비에스(JBS)와 정보·기술 서비스 업체 카세야에 대한 해킹 공격이 일어났고, 전문가들은 그 배후로 러시아와 연계된 해킹 그룹 레빌(REvil)을 지목했다. 지난달 16일 바이든 대통령이 스위스 제네바 대면 정상회의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사이버 공격 중단을 촉구한 뒤에도 해킹 공격이 일어나면서 미국 안에서 맞대응 여론이 일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기자들이 사이버 공격과 관련해 푸틴 대통령에게 전할 메시지는 무엇이냐고 묻자 “푸틴에게 전달하겠다”는 답변으로 넘어갔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