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이 3월12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토니 블링컨(왼쪽에서 두 번째) 국무장관과 함께 화상으로 진행된 쿼드(Quad) 정상회의에 참여하고 있다. 스크린 왼쪽부터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 워싱턴/AF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오는 24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대면으로 여는 첫 쿼드(Quad) 정상회의를 주최한다고 백악관이 13일 발표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내어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3월 화상으로 열린 첫 정상회의에서 보듯이 쿼드의 격상을 우선순위로 삼았다”며 “쿼드 정상회의를 주최는 21세기 도전과제들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다자협의체를 포함해 인도태평양에 관여하는 바이든 정부의 우선순위를 보여준다”고 밝혔다. 사키 대변인은 이어 이번 정상회의의 논의 주제로 △유대 심화 △코로나19, 기후변화 대응, 신기술·사이버공간 협력 등 실질적 협력 증진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 촉진을 제시했다.
미국, 일본, 인도, 오스트레일리아(호주) 등 4개국이 참여하는 쿼드는 중국 견제를 위한 협의체로 평가받는다. 이번 회의에 바이든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가 참석한다.
미국은 “쿼드는 군사 동맹이 아니다”라면서 코로나19 등 실질적 협력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바이든 정부가 중국 견제를 목표로 인도·태평양 구상을 강화하는 가운데 네 정상이 화상으로 만난 지 6개월 만에 직접 만나는 것만으로도 중국에 강력한 메시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말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 철수를 완료한 뒤 “우리는 중국과 심각한 경쟁을 벌이고 있고 러시아와 여러 전선의 도전을 다루고 있다”며 대외정책의 초점을 중동에서 중국 등 새 영역으로 옮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쿼드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인 2019년 이후 세 차례 외교장관 회의로 열렸으나, 바이든 대통령은 이를 정상급으로 계승·격상해 지난 3월 첫 화상 정상회의를 열었다. 정상들은 당시 코로나19 백신, 핵심 신기술, 기후변화 등 3개 분야에서 ‘워킹 그룹’을 만들기로 했다. 또 성명에서 “법치, 항행 및 영공 비행의 자유, 분쟁의 평화적 해결, 민주적 가치, 영토적 온전성을 지지한다”고 밝혀, 대만·홍콩·남중국해 등과 관련해 중국을 겨냥했다.
쿼드 참가국 확대 및 참가 문제와 관련해 한국 정부는 직접 가입보다는 코로나19 등 사안별 협력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