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평양의 백화점에서 보건 요원들이 방역 활동을 하고 있다.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은 북한 식량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다며 북한에 대한 제재 완화를 촉구했다. 평양/AP 연합뉴스
유엔의 북한 인권 특별보고관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북한이 국제 사회와 단절되면서 식량 위기에 직면했다며 유엔의 제재 완화를 촉구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로이터>는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북한 인권 특별보고관이 오는 22일 유엔 총회에 제출할 보고서를 미리 입수했다며, 보고서는 북한 상황이 위기로 접어드는 와중에 국제 사회가 북한 주민들의 어려움에 점차 무관심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고 전했다.
킨타나 특별보고관은 보고서에서 “인도주의적 지원을 촉진하고 평범한 북한 시민들이 적절한 생활 수준을 누릴 권리를 신장시키기 위해 필요하다면, 유엔 안보리의 북한 제재를 재검토하고 완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북한 주민들의 식량 확보 문제가 심각하게 우려된다”며 “특히, 어린이들과 노인들이 굶주림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중국과의 무역이 거의 끊기면서 필수적인 의약품과 의료 장비들이 부족하다며 구호 기관들이 의약품을 북한에 공급하는 것도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는 “현재의 이런 상황은 위기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는 꼭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킨타나 특별보고관은 또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 완화를 촉구하는 한편 미국과 한국에 대해 북한 비핵화를 위한 외교 노력을 재개하겠다는 “분명한 신호를 보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킨타나 특별보고관을 인정하지 않으며, 그의 활동에 협조하지도 않고 있다고 통신은 지적했다.
한편, 북한은 지난해 자연재해 등으로 식량 상황이 만만치 않다는 걸 인정했지만, 북한 아동들의 영양 실조에 관한 지난 4월 유엔의 보고서에 대해서는 “완전한 거짓말”이라고 반박했다고 통신이 덧붙였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