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국제일반

전세계 ‘예술품의 귀환’ 시대…우리는?

등록 2006-02-15 19:18수정 2006-02-20 10:19

(위에서부터) 미국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이 이탈리아에 반환한 그리스 조각가 유포로니우스의 도자기. 독일 하이델베르크대가 그리스에 돌려준 파르테논 신전의 발꿈치 조각상. 대영박물관이 소장한 파르테논 신전의 최고 걸작 조각인 ‘엘진 마블’
(위에서부터) 미국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이 이탈리아에 반환한 그리스 조각가 유포로니우스의 도자기. 독일 하이델베르크대가 그리스에 돌려준 파르테논 신전의 발꿈치 조각상. 대영박물관이 소장한 파르테논 신전의 최고 걸작 조각인 ‘엘진 마블’
그리스·이탈리아, 재외 문화재 환수 잇단 성과
끈질긴 협상·소송…‘박물관 제국주의’ 종말 징후
한국은 약탈당한 7만여점중 5천여점 회수 그쳐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은 지난 5일, 2500년 전 그리스의 화가 유프로니오스의 작품이 그려진 항아리를 이탈리아에 돌려주기로 결정했다. 축제 때 포도주와 물을 섞던 이 항아리는 겉면에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들의 사자’ 헤르메스의 모습이 정교하게 그려져 있어, 그리스 도예의 최고봉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박물관은 지난 달 15일, 파르테논 신전 북쪽 벽에 새겨져 있던 조각상의 일부를 그리스에 돌려주겠다고 발표했다. 기원전 5세기 그리스의 조각가 피디아스가 만든 남성상의 발꿈치에 해당하는 이 유물은 흔히 파르테논 신전의 문패로 통한다. 뒷면에 ‘파르테논’이라는 글자가 또렷이 박혀 있어서다.

전쟁과 약탈, 도굴과 밀거래를 통해 세계 유수의 박물관으로 뿔뿔이 흩어졌던 예술품들이 속속 귀환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이뤄졌던 약탈품 청산을 떠올리게 할 정도다. 유럽과 미국의 이른바 ‘박물관 제국주의’가 몰락하는 징후라는 지적까지 나온다. 미국의 고고학자 존 파파도풀로스는 “인류가 마침내 누가 문화재를 가져야 하느냐는 논쟁의 결론에 이르렀다”고 <로스앤젤레스타임스>에서 평가했다.

예술품의 잇단 귀환은 무엇보다 빼앗긴 문화재를 되찾으려는 나라들의 끈질긴 노력에 힘입은 바 크다. 그리스 정부는 하이델베르크대 박물관의 발꿈치 조각을 돌려받기 위해 독일 정부와 여러 차례 협상을 펼쳤다. 유럽 곳곳에 흩어진 파르테논 신전 조각을 반환받는 선례를 남기기 위해서였다. 이탈리아 정부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항아리를 되찾기 위해 이 항아리가 도굴됐다는 증거를 찾아내 미국 법원에 들이댔다.

‘엘진 마블’ 작품이 전시된 대영박물관.
‘엘진 마블’ 작품이 전시된 대영박물관.
유대인들의 노력은 더 집요하다. 1990년대부터 나치 독일에 빼앗긴 예술품 되찾기 운동을 펼쳐온 유대인들은 2004년 독일 정부를 상대로 180억달러 규모의 예술품 반환 소송을 제기했다. 이런 노력이 이어지면서 네덜란드 정부는 최근 나치 독일로부터 환수했던 회화 202점을 소유자인 유대인의 후손에게 돌려주기로 결정했다. 17세기 네덜란드 화가 로이스달의 작품이 포함된 이번 반환은 유대인들의 예술품 되찾기 운동의 가장 큰 성과로 꼽힌다.

예술품 반환 결정이 잇따르면서 유럽과 미국의 유명 미술관들이 전전긍긍하고 있다. <비비시(BBC)>는 “파르테논 신전의 조각들 가운데 최고로 꼽히는 ‘엘진 마블’을 소장하고 있는 대영박물관이 하이델베르크대의 반환 결정으로 바짝 긴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게티미술관은 최근 불법으로 사들인 미술품 42점을 내놓으라는 이탈리아 정부의 소송에 시달리고 있다. 예일대 피바디미술관은 잉카문명의 유적지 마추픽추에서 발굴한 유물 수백점을 돌려달라는 페루 정부의 요구에 당황하고 있다.

예술품 되찾기 운동은 1970년 제정된 유네스코 협약에 의해 촉발됐다. 약탈되거나 도굴된 미술품의 거래를 금지하고, 유물을 그것이 발견된 나라의 자산으로 규정한 이 협약에 따라 지금까지 3천여점의 문화재가 반환됐다. 유네스코는 “유물을 훔치는 것은 지구를 훔치는 것”이라고 규정한다.

그러나 아직은 돌아오지 않은 예술품이 훨씬 많다. 대표적인 약탈 문화재 보유국인 영국과 프랑스는 문화재 반환 요구를 가차없이 거부한다. 문화재 반환의 도미노 현상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박물관에 소장품이 줄어들면 관광수익이 준다는 현실적인 계산도 깔려 있다. 대영박물관과 루브르박물관은 2002년 “일반인들의 감상권을 보장하기 위해 소장품 반환을 거부한다”는 선언을 내기도 했다.


한국도 이런 장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2005년 현재 외국에 소장된 한국 문화재는 7만여점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돌려받은 문화재는 5000여점에 불과하다. 최근 프랑스가 1886년 강화도 외규장각에서 약탈해간 의궤를 돌려받기 위해 정부 차원의 전담팀을 꾸렸으나, 성과는 불확실하다. 북한도 최근 재개한 일본과 수교 협상에서 문화재 반환를 요구하고 있다.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러시아, 식량 없어 탈영한 북한군 18명 잡아 구금” 1.

“러시아, 식량 없어 탈영한 북한군 18명 잡아 구금”

북한 유엔대표, 러 파병 언급에 “근거 없는 뻔한 소문” 2.

북한 유엔대표, 러 파병 언급에 “근거 없는 뻔한 소문”

북한 파병에 우크라 군인, 한글로 “분단 끝낼 기회” 3.

북한 파병에 우크라 군인, 한글로 “분단 끝낼 기회”

“제주 동백숲 가꾼 현맹춘”…한강이 알리고픈 인물 4.

“제주 동백숲 가꾼 현맹춘”…한강이 알리고픈 인물

[영상] 절규하는 젊음...우크라 강제 징집에 몸부림 치는 청년들 5.

[영상] 절규하는 젊음...우크라 강제 징집에 몸부림 치는 청년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