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 사키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4일(현지시각) 기자 브리핑을 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미국의 전기차 기업 테슬라가 중국 신장 지역에 전시장을 낸 데 대해 백악관이 4일(현지시각)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테슬라에 관한 질문에 “한 기업의 구체적 상황에 대해 말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우리는 민간 부문이 신장에서 벌어지는 중국의 인권 유린과 제노사이드(집단학살)에 반대해야 한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사키 대변인은 “공공과 민간 부문을 포함해 국제사회는 신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에 관해 못 본 척 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급망에서의 강제노동과 인권 유린에 제대로 대처하지 않는 기업들은 미국 뿐 아니라 유럽 등 전세계에서 법적으로나 평판 등에서 심각한 위험에 마주한다”고 강조했다.
사키 대변인은 테슬라를 직접 입에 올리지는 않았으나, 신장 지역 무슬림 위구르족에 대한 인권 탄압을 강하게 규탄하는 미 정부의 방침과 어긋나는 행동에 강한 불만을 표출한 것으로 풀이된다.
테슬라는 지난달 31일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 계정을 통해, 신장 지역의 중심도시인 우루무치에 첫 전시장을 열었다고 밝혔다. 지난달 24일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신장 지역에서 강제노동으로 생산된 모든 상품의 수입을 금지하는 ‘위구르 강제노동 방지법’에 서명한 지 일주일 만이다. 미 정부는 또한 신장 지역에서의 인권 탄압을 문제 삼아, 2월에 열리는 베이징 겨울올림픽에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겠다며 ‘외교적 보이콧’을 지난달 선언했다.
미국 안에서의 초당적 반중국 정서를 반영하듯, 공화당에서도 테슬라 비판이 나왔다. ‘위구르 강제노동 방지법’을 주도한 공화당의 마코 루비오 상원의원은 지난 3일 트위터에 테슬라의 신장 전시장 개점 관련 기사를 링크하면서 “나라 없는 기업들이 중국 공산당이 제노사이드와 강제노동을 은폐하는 것을 돕고 있다”고 적었다.
무슬림 단체도 테슬라를 비난했다. ‘미국-이슬람 관계 위원회’는 성명을 내어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와 테슬라는 전시장을 폐쇄하고, 제노사이드를 경제적으로 돕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