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과 서방국가 등의 이란 핵합의 복원 협상이 벌어지는 오스트라아 빈의 팔레 코부르 앞을 지난 8일 오스트리아 군인이 지나가고 있다. 빈/로이터 연합뉴스
지난해 4월부터 이어져온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 복원 협상이 막바지 단계에 이르렀다고 관련국들이 밝혔다.
이란 쪽 협상 대표인 알리 바게리 카니 외무부 차관은 16일 트위터를 통해 “모든 게 합의될 때까지는 어떤 것도 합의된 게 아니다”라면서도 “몇 주 동안의 강도 높은 협상 뒤 우리는 어느 때보다도 합의에 근접해있다”고 밝혔다.
호세인 아미르압둘라히안 이란 외무부 장관도 지난 15일 <파이낸셜 타임스> 인터뷰에서 핵합의 복원 협상에 진전이 있다면서, 미국을 비롯한 서방 의회가 핵합의와 이행에 대한 약속을 정치적 발표문으로 선언할 것을 요구했다. 2018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핵합의를 탈퇴했던 것과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안전장치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미국과 프랑스도 협상이 마무리 단계라고 밝혔다. 장 이브 르 드리앙 프랑스 외무장관은 상원에 출석해 “(협상 타결은) 몇 주가 아니라 며칠의 문제”라고 말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도 언론 브리핑에서 이같은 프랑스의 평가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핵심 이해당사자들과 복잡한 협상에서 최종 단계의 한복판에 있다는 게 우리의 판단”이라며 “지금은 이란 핵합의 준수로 상호 복귀할 수 있을지를 결정할 결정적 기간”이라고 말했다.
이란 핵합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과 독일 등 6개국이 2015년 7월 이란과 체결한 것으로, 이란이 우라늄 농축 등 핵 활동을 제한하고 미국 등 서방은 이란에 대한 경제 제재를 해제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8년 5월 이를 일방적으로 탈퇴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했다. 이에 이란은 우라늄 농축 수준을 점차 늘려, 60% 농축 우라늄 생산까지 마쳤다. 지난해 1월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취임한 뒤 같은 해 4월부터 6개국은 이란과 오스트리아 빈에서 핵합의 복원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