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기가 바람에 날리고 있다. 베이징/로이터 연합뉴스
중국의 올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4%에 그쳤다. 코로나19 봉쇄 등으로 인해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시장 예상치 1%를 크게 밑도는 것으로 확인되며 세계 경제에게 큰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5일 오전 중국의 올 2분기(4~6월) 경제 성장률이 0.4%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경제 전문가들의 예상치 1%에 크게 미치지 못한 것이다. 앞서 <로이터> 통신은 지난 13일 경제 전문가 50명을 조사해 2분기 성장률 전망치가 평균 1.0%으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1~2분기를 합한 올 상반기 경제 성장률은 2.5%로 집계됐다. 중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은 4.8%였다. 이는 중국 당국이 제시한 올해 경제 성장률 목표치 5.5%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앞으로 중국 당국이 경제 성장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안간힘을 쓸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경제 성장률은 코로나19 충격이 덮친 2020년 1분기 -6.8%를 기록한 이래, 꾸준히 회복세를 유지해 왔다. 2020년 2~4분기 3.2%, 4.9%, 6.5%를 기록했고, 지난해 1~4분기에는 18.3%, 7.9%, 4.9%, 4.0%를 나타냈다. 올 1분기는 4.8%였다.
그러나 올 3월부터 중국 전역에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면서, 중국 경제 중심지인 상하이시와 베이징시, 선전시, 저장성, 장쑤성, 지린성 등이 봉쇄됐고, 그 여파가 올 2분기 성장률 0.4%로 나타났다.
2분기 성적이 워낙 낮고 회복 강도도 약해 중국 정부가 올해 목표로 삼은 연간 성장률 5.5% 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경기 침체 속에 물가가 상승하는 스태크플레이션 우려와 투자·소비의 감소, 부동산 시장 침체 등이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최근 <로이터> 통신과 <블룸버그> 통신은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4.0%, 4.1%로 예측했는데, 실제 결과는 이보다 더 낮을 수도 있다. 세계은행은 4.3%,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4.4%, 바클레이즈는 3.3%를 제시했다.
올가을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 확정을 앞둔 중국 당국은 어떻게든 성장률 목표치를 맞추려고 노력할 것으로 보인다. 시 주석의 3연임의 가장 확실한 근거는 중국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이기 때문이다.
베이징/최현준 특파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