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중국 충칭시에서 한 어린이가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충칭/신화 연합뉴스
‘제로 코로나’ 정책을 중국의 출산율 저하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한 <로이터> 통신의 기사에 중국 관영 매체가 “근거 없는 기사”라고 반박했다.
24일(현지시각) 중국 관영 <글로벌 타임스>는
‘<로이터> 통신이 중국의 코로나19 정책이 출산율에 타격을 줬다고 근거 없이 보도했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로이터 통신의 중국 출산율 저하 관련 기사를 비판했다.
해당 기사는 <
로이터>가 지난 23일 보도한 것으로, 중국 보건당국인 국가위생건강위원회가 중국의 결혼 및 출산율 감소의 원인으로 높은 양육비, 교육비와 함께 코로나19를 지목했다는 내용이었다. <로이터>는 “위원회가 ‘코로나19가 사람들의 결혼과 출산율에 분명한 영향을 끼쳐왔다’고 말했다”며 이 답변을 지난 22일 위원회로부터 팩스로 받았다고 전했다. <로이터>는 중국의 신생아 수가 지난해 1060만 명에서 올해 1천만 명 미만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로이터>는 지난 9일에도 중국의 엄격한 제로 코로나 정책이 자녀를 갖고자 하는 사람들의 생각에 심각한 손상을 가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글로벌 타임스>는 “서방 언론은 지속해서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을 흠집 내고 비판해 왔다”며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사람들이 아이를 가지길 꺼린다는 주장은 가장 최근의 사례”라고 비판했다. 이 매체는 전문가를 인용해 코로나19 사태가 중국 사람들의 결혼 및 출산율에 불확실성을 키웠을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얼마나, 어떤 메커니즘으로 기여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고 전했다. 특히 제로 코로나 정책의 일환인 엄격한 자가격리가 출산율 촉진에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고도 전했다.
다만, <글로벌 타임스>는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로부터 해당 답변을 받았다는 <로이터> 보도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국외 매체의 특정 기사에 중국 관영 매체가 직접 반박하는 것은 드문 일이다. 대만 문제나 신장위구르 인권 문제 등 중국이 이른바 ‘핵심 이익’으로 간주하는 주제에 대해 종종 있어 왔다. 이번 반박 보도를 통해 중국 당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을 얼마나 중시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제로 코로나 정책은 중국의 코로나19 방역 정책으로, 전 주민 감염 조사, 엄격한 봉쇄 등을 특징으로 한다. 2020년 초 시작됐고, 올 3~5월에는 인구 2500만명의 상하이가 완전 봉쇄됐다. 국내외에서 코로나19 방역 강도를 낮추라는 요구가 높지만, 중국 당국은 “생명 보호가 우선”이라며 엄격한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베이징/최현준 특파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