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국제일반

폭스콘 사태 놀란 애플, ‘탈중국’ 속도 낸다

등록 2022-12-04 14:08수정 2022-12-05 01:18

9월16일(현지시각) 중국 베이징의 애플스토어에서 손님들이 아이폰14를 살펴보고 있다. 베이징/AP 연합뉴스
9월16일(현지시각) 중국 베이징의 애플스토어에서 손님들이 아이폰14를 살펴보고 있다. 베이징/AP 연합뉴스

중국 허난성 정저우 폭스콘 공장에서 벌어진 대규모 시위를 계기로 애플이 ‘탈중국’ 움직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 중인 첨단 산업의 ‘공급망 재편’ 작업과 맞물리면서, 한자릿수대인 인도의 비중이 장기적으로는 45%까지 늘 것으로 보인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3일 애플이 최근 폭스콘 사태를 계기로 “공급업체들에 아시아의 다른 지역, 특히 인도·베트남에서 제품을 더 많이 조립하도록 계획하라고 했다”고 전했다. 그동안 서서히 진행돼온 애플의 탈중국 움직임에 박차를 가한 것은 지난 10월 말 일어난 정저우 ‘폭스콘 사태’였다. 무려 30만명의 직원을 거느린 이 공장은 한때 아이폰 프로 제품의 85%가 생산되는 등 애플의 최대 생산기지 노릇을 해왔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가혹한 방역 조처로 직원들이 대규모로 이탈하고 시위와 무력 충돌이 잇따르며 상황이 달라졌다. 정저우 공장 노동자들은 10월 말 강도 높은 봉쇄 조처와 코로나19 감염 우려 때문에 대규모 ‘집단 탈출’을 감행했다. 이후 이들을 대체히기 위해 새로 뽑은 노동자들은 애초 약속과 달리 수당이 지급되지 않자 지난달 22일 대규모 시위에 나섰다. 수백명의 노동자가 방역복을 입고 시위 진압용 방패를 든 경찰 및 보안요원들과 충돌했다. 이 과정에서 아이폰 등의 생산 차질 우려가 커진 것이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최근) 격변은 애플이 사업의 상당 부분을 한곳에 묶어두는 것을 더 이상 편안하게 느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폭스콘 미국지사의 임원을 지낸 앨런 영은 이 신문에 “과거에 사람들은 ‘집중 위험’에 주목하지 않았다. 자유무역이 기준이었고, 모든 것이 매우 예측 가능했다”며, 하지만 “이제 우리는 새로운 세계로 들어섰다”고 말했다.

11월23일(현지시각) 중국 허난성 정저우 폭스콘 공장에서 노동자 시위가 발생한 가운데 시위대와 경찰 등이 몸싸움을 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11월23일(현지시각) 중국 허난성 정저우 폭스콘 공장에서 노동자 시위가 발생한 가운데 시위대와 경찰 등이 몸싸움을 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매체는 “애플과 중국의 관계는 단숨에 변화하진 않을 것”이라고 단서를 달면서도 수년간 이어진 미-중 관계의 긴장 등의 요소와 함께 “중국 청년들이 더 이상 많지 않은 임금을 받으며 부유한 이들을 위해 전자제품을 조립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대니얼 아이브스 웨드부시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코로나19 정책은 애플의 공급망에 완벽한 타격이 됐다”며 정저우 공장에서 비상사태가 발생한 지난 한달이 임계점에 도달한 중국과 애플의 관계에 ‘마지막 단추’를 눌렀다고 설명했다.

애플의 눈이 향하는 곳은 인도와 베트남이다. 애플은 이미 올해 인도 폭스콘 공장에서 아이폰 최신 기종인 아이폰14의 위탁 생산을 시작했다. 인도에서 아이폰이 생산된 것은 2017년부터지만 최신 기종은 이번이 처음이다. 궈밍지 티에프(TF)국제증권 연구원은 애플의 장기 목표가 아이폰의 인도 생산 비중을 40~45% 수준까지 늘리는 것이라고 전했다. 베트남은 에어팟, 스마트워치, 노트북 등의 생산을 더 많이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 통신은 지난달 30일 자체 분석을 통해 애플 공급망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5~2019년에 44~47% 수준에서 2020년 41%, 2021년 36%로 감소했다고 보도했다.

글로벌 기업들의 ‘탈중국’ 흐름은 애플만의 과제가 아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일 일본의 주요 100개 제조업체(79개 업체 회답)에 물어보니 절반인 53%가 앞으로 중국에서 부품 등의 조달 비율을 낮추겠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이들이 탈중국을 택하며 꼽은 이유는 대만 유사사태에 대한 우려,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미-중 마찰 등이었다. 또 탈중국을 할 경우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로 든 것은 물류비 상승, 전문인재 부족 등이었다.

조해영 기자 hyc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속보] 미, HBM 중국 수출 통제…하이닉스·삼성전자 타격 불가피 1.

[속보] 미, HBM 중국 수출 통제…하이닉스·삼성전자 타격 불가피

고속도로 운전 중 다리에 뱀이 스멀스멀…기겁한 운전자 대응은 2.

고속도로 운전 중 다리에 뱀이 스멀스멀…기겁한 운전자 대응은

우크라이나에 핵무기 반환?…미 백악관 “고려 대상 아니다” 3.

우크라이나에 핵무기 반환?…미 백악관 “고려 대상 아니다”

‘진보’ 샌더스도 “머스크가 옳다”…국방 예산 낭비 주장 힘 실어 4.

‘진보’ 샌더스도 “머스크가 옳다”…국방 예산 낭비 주장 힘 실어

임기 한 달 남기고 말 바꾼 바이든…‘탈세·불법총기 소지’ 아들 사면 5.

임기 한 달 남기고 말 바꾼 바이든…‘탈세·불법총기 소지’ 아들 사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