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일 외무·국방장관 회담 직후 공동기자회견에서 오노 요시노리 일본 방위청 장관(맨 오른쪽)이 발언하는 동안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 도널드 럼즈펠드 미국 국방장관, 마치무라 노무다카 일본 외무상(왼쪽부터)이 지켜보고 있다. 워싱턴/AP 연합 동맹 전세계 확대·북·중 움직임 공동대처 강화
미군-자위대 일체화 가속·MD 공동개발단계 이행도 미국과 일본 정부는 19일 워싱턴에서 열린 안전보장협의 위원회(2+2 회의)에서 미-일 동맹을 세계적 규모로 확대하는 내용의 공동전략목표에 합의했다. 두 나라는 2002년 말 이후 2년 만에 열린 이번 회의에서 합의된 내용을 중심으로 올 가을 새 안보공동선언을 채택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아나갈 방침이다. 양쪽이 처음으로 마련한 공동전략목표는 동맹 강화에 가장 큰 중점을 두고 있다. 양쪽은 미-일 동맹을 극동지역으로 제한한 미-일 안보조약을 재검토하지 않는 대신 공동전략목표라는 이름으로 범위를 넓혔다. 1996년 미-일 안보공동선언이 두 나라 안보협력을 일본 방위를 넘어 ‘주변사태’로 넓힌 것이라면, 그로부터 9년 뒤 나온 이번 공동전략목표는 사실상 전세계로 확대한 것이다. 다음으로 북한과 중국의 움직임에 대한 공동대처 강화가 포함됐다. 북한에 대해선 북핵과 납치 문제와 관련해 두 나라의 긴밀한 공조의지를 담았다. 중국에 대해선 ‘위협’이라는 직설적 표현을 피하고 “건설적 구실을 환영한다”고 했지만, 지역 안정을 위해 적극 협력할 것을 촉구하는 간접적 압력이나 다름없다. 그동안 중국을 자극하지 않는다는 차원에서 대만해협 문제를 두 나라의 공동문서에 거론한 적이 없었지만, 이번에는 ‘평화적 해결 추구’라는 표현으로 중국의 군사대국화에 따른 대만과의 무력충돌 가능성에 대한 강한 우려를 반영했다.
|
||||
도쿄/박중언 특파원 park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