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무기운반 북한 선박 지원국가 독자제재 검토”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은 오는 27~28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기간에 6자회담 당사국들의 외무장관 회동이 열린다면 기꺼이 참가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말레이시아 국영 <베르나마통신>이 22일 보도했다.
라이스 국무장관은 중동방문에 앞서 <베르나마통신> 등 동남아시아 언론인 5명과 연 회견에서 “북핵 문제를 논의의 초점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며 이렇게 밝혔다. 라이스 장관은 또 “(6자회담) 당사국들은 북한과의 모든 접촉과 리버리지(지렛대)를 한반도를 비핵화하는 데 사용할 것”을 촉구했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중국도 북핵 6자회담 모든 당사국 외무장관들이 참석하는 회담을 검토해야 한다며 현재 미국과 일본이 추진중인 5자회담에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고 일본 외무성 관리들이 21일 밝혔다. 니시다 쓰네오 일본 외무차관은 리자오싱 외교부장과의 베이징 면담에서 리 부장이 다음주 아세안지역포럼 연례회의 때 6자회담 모든 당사국 외무장관들이 회담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했다.
한편, 미국은 유엔 안보리의 대북 결의안 이행을 위해 북한과의 대량살상무기(WMD) 거래에 관여하거나 관련 물자를 운반하는 북한 선박을 지원하는 등 결의안을 ‘위반’하는 제3국에 대해 미국 국내법에 따른 독자적 제재를 발동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교도통신>이 22일 보도했다. 미국 정부 고위관계자는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자금원을 차단하기 위해 미사일 개발 등을 지원하는 기업에 관한 정보를 각국이 공유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이 고위 관계자는 “유엔 결의에 입각해 각국 영해 안에 기항하는 북한 선적 선박에 대한 임검을 강화하는 등 확산방지구상(PSI)도 강화할 방침”이라며 “입항하는 선박을 검색하는 권한은 각국 정부에 있기 때문에 각국에 구체적 조처를 취하도록 촉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북한 화물기의 영공 통과 불허 및 이란과의 미사일 협력을 염두에 둔 기술자의 이동 저지 등 확산방지구상 활동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베이징 도쿄/연합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