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외국교과서와 기술 비교…한·중에 반격나서
일본 정부가 근·현대사에 관한 외국 역사교과서의 기술을 비교조사하는 등 교과서 왜곡 문제와 관련해 본격적인 반격에 나서기로 했다. 일본 외무성과 문부과학성은 27일 역사교과서의 왜곡 비난이 집중된 제2차 세계대전과 영토 문제 등을 중심으로 한국과 중국, 서구와 오스트레일리아 등 20여개 나라 교과서에 대한 비교조사에 들어갔다. 한국과 중국 교과서에선 근·현대사 부분, 서구와 동남아 등의 교과서에선 2차 대전 전후 시기의 일본 관련 기술이 조사대상이다. 외무성 고위관계자는 “세계의 표준적인 기술을 알아보고, 일본의 교과서만 색다른 기술을 하고 있는 게 아니라는 점을 증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과 중국에서 일본 역사교과서에 대해 군국주의를 찬미하는 내용이라고 비판하는 사례가 두드러지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기술이 문제인지 지적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선입견과 오해에 근거해 비판하는 사례가 압도적으로 많다”고 주장했다. 나카야마 나리아키 문부상도 26일 기자회견에서 “세계의 교과서와 교육에 대한 실태조사가 필요한 만큼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외무성 등은 이와 함께 일본 역사교과서를 한국어와 중국어로 번역해 배포·공표하는 한편, 해외공관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일본의 검정제도를 설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마치무라 노부타카 외상은 이날 참의원 외교방위위원회에서 “검정제도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는 나라가 많다”며 “우선 한국과 중국의 일본대사관 홈페이지에서 해당국의 언어로 설명하겠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의 이런 움직임은 교과서 왜곡 문제와 관련해 더는 한국과 중국으로부터 공격만 당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도쿄의 한 외교소식통은 일본 쪽이 교과서 문제에서 적극 반격에 나서면 오히려 왜곡 논란이 활기를 띠게 되고, 한·중·일 사이의 공동 교과서 마련 움직임 등이 가속화할 수도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도쿄/박중언 특파원 parkje@hani.co.kr
일본 정부가 근·현대사에 관한 외국 역사교과서의 기술을 비교조사하는 등 교과서 왜곡 문제와 관련해 본격적인 반격에 나서기로 했다. 일본 외무성과 문부과학성은 27일 역사교과서의 왜곡 비난이 집중된 제2차 세계대전과 영토 문제 등을 중심으로 한국과 중국, 서구와 오스트레일리아 등 20여개 나라 교과서에 대한 비교조사에 들어갔다. 한국과 중국 교과서에선 근·현대사 부분, 서구와 동남아 등의 교과서에선 2차 대전 전후 시기의 일본 관련 기술이 조사대상이다. 외무성 고위관계자는 “세계의 표준적인 기술을 알아보고, 일본의 교과서만 색다른 기술을 하고 있는 게 아니라는 점을 증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과 중국에서 일본 역사교과서에 대해 군국주의를 찬미하는 내용이라고 비판하는 사례가 두드러지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기술이 문제인지 지적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선입견과 오해에 근거해 비판하는 사례가 압도적으로 많다”고 주장했다. 나카야마 나리아키 문부상도 26일 기자회견에서 “세계의 교과서와 교육에 대한 실태조사가 필요한 만큼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외무성 등은 이와 함께 일본 역사교과서를 한국어와 중국어로 번역해 배포·공표하는 한편, 해외공관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일본의 검정제도를 설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마치무라 노부타카 외상은 이날 참의원 외교방위위원회에서 “검정제도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는 나라가 많다”며 “우선 한국과 중국의 일본대사관 홈페이지에서 해당국의 언어로 설명하겠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의 이런 움직임은 교과서 왜곡 문제와 관련해 더는 한국과 중국으로부터 공격만 당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도쿄의 한 외교소식통은 일본 쪽이 교과서 문제에서 적극 반격에 나서면 오히려 왜곡 논란이 활기를 띠게 되고, 한·중·일 사이의 공동 교과서 마련 움직임 등이 가속화할 수도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도쿄/박중언 특파원 park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