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유동성 문제 국가 대출 고려”…정부 “사실무근”
국제통화기금(IMF)이 금융위기로 휘청이는 신흥시장 국가들을 지원할 긴급 자금지원 제도를 구상하고 있다고 미국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한국도 고려 대상이라고 보도했고, 우리 정부는 이를 강하게 부인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국제통화기금이 유동성 문제를 겪는 나라들에 대출을 고려하고 있으며, 국제통화기금은 부채비율과 경상수지 적자 규모 등을 기준으로 한국과 멕시코, 브라질, 동유럽 국가들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24일 보도했다. 국제통화기금은 이들 국가에 자금을 공급하더라도 민영화나 보조금 지급 중단 등 정책적 요구는 하지 않을 것이라고 이 신문은 전했다.
최종구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국장은 24일 긴급 브리핑을 통해 “우리나라가 자금지원 대상에 포함될 것이라는 보도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국제통화기금을 통해 해당 언론사에 보도 내용 정정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워싱턴 포스트>는 국제통화기금이 금융위기로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에 처한 개발도상국들에 유동성을 공급할 긴급 기금 조성안을 다음주 중 이사회에서 표결해 승인을 받을 계획이라고 24일 보도했다. <뉴욕 타임스>도 서유럽 국가들이 위기에 처한 개도국을 원조할 긴급대출을 고려하고 있다며, ‘위기국가’로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터키, 아르헨티나,에스토니아 등을 꼽았다.
독일 투자은행 드레스드너 클라인보르트의 닐 두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 신문에 “신흥시장의 유동성 고갈은 심각한 상황”이라며 “아직 초기 단계이므로 외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주요 교역대상이자 투자처인 개발도상국의 위기가 곧 선진국에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점이 서방의 지원 움직임을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제통화기금은 현재 약 2500억달러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들 자체의 금융위기도 심각한 상황에서 각국 중앙은행들이 이번 긴급 자금지원 제도를 도울지 의구심을 갖는 분석도 적지 않다. 박민희 김수헌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