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내 반환여부 한국에 통보될듯
일본 정부가 일본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선인 강제징용 희생자의 실태조사에 들어갔다고 <아사히신문>이 5일 보도했다.
일본 외무성은 2차대전 때 강제로 징용된 조선인들을 고용했던 탄광과 공장 등을 운영하던 기업이나 그 사업을 이어받은 기업 등 100여 곳에 지난달 조사표를 보냈다. 외무성은 기업들이 당시 고용된 조선인의 명부나 희생자 유골을 보관하고 있는지 등을 조사한 뒤, 그 결과와 유골 반환 가능성 등에 대해 오는 8월까지 한국 정부에 통보할 예정이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는 6월 말로 예정된 한-일 정상회담에서 이런 방침을 밝힐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정부가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강제징용 희생자 조사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은 1969년 조선인 군인·군속에 대해 유족 등 연고자가 확인되면 유골을 넘겨주기로 한국과 합의해 지난 3월 말까지 모두 8835기를 반환했다. 그러나 민간인 징용자 문제는 “국가와 직접 고용관계를 맺은 게 아니다”라는 이유를 들어 방치해 왔다.
일본은 이와 함께 남태평양 나라 등 국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일본군 유골수집 작업에서 제외됐던 조선인 병사들을 대상에 넣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 정부의 이런 움직임은 강제연행 진상규명에 대한 여론이 한국에서 고조되고 있고, 독도·과거사 문제로 한국의 반일감정이 격화함에 따라 두 나라 관계개선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라고 <아사히신문>은 전했다.
홍상진 강제연행진상조사단 사무국장은 “일본 정부가 문제해결을 위해 나선 것은 바람직하다”면서도 “정부 자료가 더 많이 있는데 기업 쪽 조사를 앞세우는 것은 강제연행을 기업만의 문제로 몰고가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도쿄/박중언 특파원 park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