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대화 강조하자 ‘지도부 의견대립’
이란은 왜 간첩 혐의로 재판정에 세운 미국 여기자를 석방했을까?
11일 미국 여기자 록사나 사베리(32)가 석방된 배경에는 미국과의 관계 개선에 대해 고민중인 이란 고위층 내의 의견 대립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뉴욕 타임스>가 12일 보도했다.
신문은 익명의 미국 당국자들을 인용해, 지난 1월 이란이 사베리를 체포한 데는 애초부터 정치적 의도가 있었다고 분석했다. 이란 고위층이 핵개발 문제를 둘러싸고 미국과 갈등이 심해지자, 사베리 구금을 ‘협상용 카드’로 쓰려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취임 뒤 줄곧 이란과의 대화를 강조하고 지난 3월20일 노우루즈(이란 전통 설)에는 영상 메시지를 보내는 등 성의를 보이자, 사베리 기자를 가둬두고 있는 데 대해 이란 지도부 내에서 대립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처음에는 사베리 기자가 이란에서는 불법인 술을 샀다는 혐의로 체포됐지만, 나중에는 스파이 혐의로 8년형을 선고받았다가 2심에서 집행유예로 풀려난 점이 근거라는 것이다.
다음달 12일 대선에서 재선에 도전하는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대통령이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