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츠먼 새 주중 미국대사 밝혀
북핵·세계경제·기후변화 논의
북핵·세계경제·기후변화 논의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월 중순, 취임 뒤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한다.
존 헌츠먼 신임 주중 미국대사는 22일 베이징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바마 대통령의 중국 방문 계획을 발표했다. 구체적 날짜는 밝히지 않았지만, 11월 14~15일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에 참석할 예정인 오바마 대통령이 이를 전후해 중국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바마 대통령은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 등과 만나 세계 경제위기 대처방안, 기후변화 문제, 북핵을 포함 한반도문제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중국통으로 유명한 헌츠먼 대사는 이날 영어와 유창한 중국어를 넘나들며 “올해 말이 되면 미중관계는 사상 최고 수준으로 좋아질 것”이라며, “오늘날 전세계는 미국-중국의 건강하고 안정된 관계에 과거 어느 때보다도 많이 의존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권력서열 2위인 우방궈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이 오는 31일부터 미국을 공식 방문하는 쪽으로 양국이 최종 조율을 벌이고 있다고 <교도통신>이 22일 보도했다. 전인대 상무위원장의 미국 공식 방문은 1989년 천안문 민주화운동 유혈진압 직전 완리 위원장의 방문 이후 20년 만이다.
이런 움직임들은 주요 2개국(G2) 또는 ‘차이메리카’로 불리는 미국과 중국 중심의 새로운 국제질서로 향하는 중요한 전환점들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7~28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중 전략경제대화에서는 미중 양자 관계 현안 이외에도 세계의 주요 현안들이 포괄적으로 논의됐다. 특히 경제위기에 몰린 미국이 기후변화 협약 등 여러 현안에 대해 중국의 협조를 구해야 하는 상황이다. 미국과 중국은 무역불균형 문제, 대만에 대한 미국의 무기판매에 대한 중국의 반발, 북핵문제 해법, 기후변화 협약 등에서 이견을 보이고 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