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SNS 함께 가세
가전기기도 ‘스마트’ 대열
가전기기도 ‘스마트’ 대열
[2010년이 던진 21세기 화두 5]
① 스마트 혁명, 삶의 혁명 2010년은 지난 세기 익숙했던 지구촌의 질서 및 사람들의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사건과 조짐이 본격화한 해였다. 중국 굴기와 환율전쟁이 보여주는 헤게모니의 혼란, 스마트혁명과 위키리크스가 상징한 사이버공간의 문제, 유럽 선진국들의 재정적자와 시위가 던진 복지의 미래는 일회적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 앞으로 수십년간 전세계인들이 끌어안고 모색해나가야 하는 화두다. 영국의 팀 버너스리와 벨기에의 로베르 카요가 월드와이드웹(www)을 탄생시킨 1990년 12월25일 이래, 꼭 20년이 지난 올해 말 인터넷 이용자는 20억명이 됐다. 인터넷은 이제 전세계 인구의 3분의 1을 아우르는 거대제국이 됐다. 10억에서 20억명으로 늘어나는 데는 불과 5년이 걸렸을 뿐이다. 그래서 인터넷에는 ‘혁명’이란 말들이 넘쳐난다. 전문가들은 지난 10년이 ‘인터넷혁명’의 시대였다면, 다가오는 10년은 ‘스마트혁명’의 시대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드디어 2010년, 지구촌은 트위터·구글·애플(아이폰)·페이스북이 몰고 온 ‘TGIF’(머리글자를 딴 말) 돌풍으로 스마트혁명 원년을 맞았다. 이들이 ‘힘을 합쳐’ 몰고 온 변화의 속도와 폭은 인터넷에 비해 더 빠르고 더 크다.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에 따르면 2010년 3분기 전세계에서 팔린 휴대전화 5대 가운데 1대는 스마트폰이었다. 피시와 달리 스마트폰은 어디나 사용자와 함께 가서 우리 삶의 모든 부분을 통합시키고 있다. 이승우 신영증권 연구원은 “앞으로 5~6년 안에 세계에서 10억대가 넘는 스마트 단말기가 보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영리한 스마트폰도 피시를 대체하기엔 작다. 그 간극을 메워준 것이 아이패드로 대표되는 태블릿이다. 지난 4월 출시한 아이패드는 첫 분기에만 450만대의 판매를 기록했다. 미국 <시엔비시>(CNBC)의 존 멀로이는 “디브이디 플레이어는 첫해에 불과 35만대가 팔렸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시엔엔>(CNN)은 지난 17일 ‘아이패드는 2010년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라는 기사에서 애플이 아이패드 출시 한달 뒤인 5월 마이크로소프트를 누르고 정보통신 분야에서 세계 최대 기업이 된 점을 상기시켰다. 아이패드의 올해 판매량은 1330만대로 예상된다. 스마트폰 같은 플랫폼의 확대는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의 확산과 어우러졌다. 이달 초 트위터는 전체 등록자가 1억7500만명이라고 밝혔다. 올해 전송된 ‘트위트’는 250억건을 넘어섰다. 페이스북 이용자는 이미 7월에 5억명을 돌파해 12월 현재 6억명이다. 매일 10억개의 새로운 콘텐츠가 올라오고 있다. 페이스북은 전세계 인구의 약 10분의 1을 하나로 연결해주는 결합체이자 지구상에서 세번째로 큰 조직이 됐다. 26살의 페이스북 창설자 마크 저커버그는 <타임> 선정 ‘올해의 인물’이 됐다. 스마트폰에서 태블릿을 통해 피시로 확산된 ‘스마트화’는 전자책을 비롯해 모든 정보통신 기기로 확대되고 있으며 티브이 등 가전까지 넘보고 있다. 스마트혁명이 몰고 온 ‘스마트워크’는 사람들의 노동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만남과 사귐의 인간관계마저 네트워크의 틀 속으로 빨아들이고 있다. 사무실이 필요없는 일터와 네트워크를 통한 소통은 사람들의 여가와 생활패턴, 사고방식을 송두리째 바꾸게 될 것이다. 인터넷시대의 네티즌은 이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인 앱을 쓰고,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킹서비스에 기반한 ‘1인 미디어’의 발신자인 ‘앱티즌’으로 진화했다. 이 와중에 신문·방송·출판 등 올드미디어는 설 자리가 없다. 미 경제전문지 <포천> 인터넷판은 지난 10일 한 조사를 인용해 “아이패드 사용자의 58%가 조만간 신문 구독을 중단할 의사를 보였다”고 전했다. 종이책과 출판사도 마찬가지 운명이다. 미디어 황제인 뉴스코프의 최고경영자 루퍼트 머독의 표현을 빌리면 아이패드는 뉴스미디어 부문의 판을 새로 짜게 만드는 ‘게임 체인저’다. 소셜미디어 전도사로 불리는 미국 뉴욕대학의 클레이 셔키 교수는 소셜미디어가 정보 제공자(취재원)-정보 생산자(언론)-정보 소비자(독자·시청자) 간의 장벽을 허물고 있다고 말한다. 독자와 시청자가 굳이 언론이란 매개 없이 정보 제공자와 직접 소통하는 시대로 들어섰다는 것이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뉴스 생산과 유통 구조의 민주화’가 권력 분산과 다원화라는 대변혁을 몰고 올 것이라는 이야기다.
그러나 반론도 만만치 않다. <블링크> <아웃라이어> 등 밀리언셀러의 저자이자 <뉴요커> 기자인 맬컴 글래드웰은 트위터와 페이스북의 상호발신, 방대한 연계성, 핵분열의 전파 속도와 대비되는 가벼움, 경쾌함, 짧음이 갖는 한계를 지적한다. ‘강한 연대’가 아닌 이런 일상적 사소함에 근거한 ‘약한 연결’로는 근본적인 사회변혁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페이스북의 손가락 클릭인 ‘좋아요’로는 세상이 안 바뀐다는 주장이다. 강태호 기자 kankan1@hani.co.kr
① 스마트 혁명, 삶의 혁명 2010년은 지난 세기 익숙했던 지구촌의 질서 및 사람들의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사건과 조짐이 본격화한 해였다. 중국 굴기와 환율전쟁이 보여주는 헤게모니의 혼란, 스마트혁명과 위키리크스가 상징한 사이버공간의 문제, 유럽 선진국들의 재정적자와 시위가 던진 복지의 미래는 일회적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 앞으로 수십년간 전세계인들이 끌어안고 모색해나가야 하는 화두다. 영국의 팀 버너스리와 벨기에의 로베르 카요가 월드와이드웹(www)을 탄생시킨 1990년 12월25일 이래, 꼭 20년이 지난 올해 말 인터넷 이용자는 20억명이 됐다. 인터넷은 이제 전세계 인구의 3분의 1을 아우르는 거대제국이 됐다. 10억에서 20억명으로 늘어나는 데는 불과 5년이 걸렸을 뿐이다. 그래서 인터넷에는 ‘혁명’이란 말들이 넘쳐난다. 전문가들은 지난 10년이 ‘인터넷혁명’의 시대였다면, 다가오는 10년은 ‘스마트혁명’의 시대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드디어 2010년, 지구촌은 트위터·구글·애플(아이폰)·페이스북이 몰고 온 ‘TGIF’(머리글자를 딴 말) 돌풍으로 스마트혁명 원년을 맞았다. 이들이 ‘힘을 합쳐’ 몰고 온 변화의 속도와 폭은 인터넷에 비해 더 빠르고 더 크다.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에 따르면 2010년 3분기 전세계에서 팔린 휴대전화 5대 가운데 1대는 스마트폰이었다. 피시와 달리 스마트폰은 어디나 사용자와 함께 가서 우리 삶의 모든 부분을 통합시키고 있다. 이승우 신영증권 연구원은 “앞으로 5~6년 안에 세계에서 10억대가 넘는 스마트 단말기가 보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영리한 스마트폰도 피시를 대체하기엔 작다. 그 간극을 메워준 것이 아이패드로 대표되는 태블릿이다. 지난 4월 출시한 아이패드는 첫 분기에만 450만대의 판매를 기록했다. 미국 <시엔비시>(CNBC)의 존 멀로이는 “디브이디 플레이어는 첫해에 불과 35만대가 팔렸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시엔엔>(CNN)은 지난 17일 ‘아이패드는 2010년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라는 기사에서 애플이 아이패드 출시 한달 뒤인 5월 마이크로소프트를 누르고 정보통신 분야에서 세계 최대 기업이 된 점을 상기시켰다. 아이패드의 올해 판매량은 1330만대로 예상된다. 스마트폰 같은 플랫폼의 확대는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의 확산과 어우러졌다. 이달 초 트위터는 전체 등록자가 1억7500만명이라고 밝혔다. 올해 전송된 ‘트위트’는 250억건을 넘어섰다. 페이스북 이용자는 이미 7월에 5억명을 돌파해 12월 현재 6억명이다. 매일 10억개의 새로운 콘텐츠가 올라오고 있다. 페이스북은 전세계 인구의 약 10분의 1을 하나로 연결해주는 결합체이자 지구상에서 세번째로 큰 조직이 됐다. 26살의 페이스북 창설자 마크 저커버그는 <타임> 선정 ‘올해의 인물’이 됐다. 스마트폰에서 태블릿을 통해 피시로 확산된 ‘스마트화’는 전자책을 비롯해 모든 정보통신 기기로 확대되고 있으며 티브이 등 가전까지 넘보고 있다. 스마트혁명이 몰고 온 ‘스마트워크’는 사람들의 노동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만남과 사귐의 인간관계마저 네트워크의 틀 속으로 빨아들이고 있다. 사무실이 필요없는 일터와 네트워크를 통한 소통은 사람들의 여가와 생활패턴, 사고방식을 송두리째 바꾸게 될 것이다. 인터넷시대의 네티즌은 이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인 앱을 쓰고,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킹서비스에 기반한 ‘1인 미디어’의 발신자인 ‘앱티즌’으로 진화했다. 이 와중에 신문·방송·출판 등 올드미디어는 설 자리가 없다. 미 경제전문지 <포천> 인터넷판은 지난 10일 한 조사를 인용해 “아이패드 사용자의 58%가 조만간 신문 구독을 중단할 의사를 보였다”고 전했다. 종이책과 출판사도 마찬가지 운명이다. 미디어 황제인 뉴스코프의 최고경영자 루퍼트 머독의 표현을 빌리면 아이패드는 뉴스미디어 부문의 판을 새로 짜게 만드는 ‘게임 체인저’다. 소셜미디어 전도사로 불리는 미국 뉴욕대학의 클레이 셔키 교수는 소셜미디어가 정보 제공자(취재원)-정보 생산자(언론)-정보 소비자(독자·시청자) 간의 장벽을 허물고 있다고 말한다. 독자와 시청자가 굳이 언론이란 매개 없이 정보 제공자와 직접 소통하는 시대로 들어섰다는 것이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뉴스 생산과 유통 구조의 민주화’가 권력 분산과 다원화라는 대변혁을 몰고 올 것이라는 이야기다.
그러나 반론도 만만치 않다. <블링크> <아웃라이어> 등 밀리언셀러의 저자이자 <뉴요커> 기자인 맬컴 글래드웰은 트위터와 페이스북의 상호발신, 방대한 연계성, 핵분열의 전파 속도와 대비되는 가벼움, 경쾌함, 짧음이 갖는 한계를 지적한다. ‘강한 연대’가 아닌 이런 일상적 사소함에 근거한 ‘약한 연결’로는 근본적인 사회변혁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페이스북의 손가락 클릭인 ‘좋아요’로는 세상이 안 바뀐다는 주장이다. 강태호 기자 kankan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