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스탠퍼드대 세미나
중동과 북아프리카를 휩쓸고 있는 ‘재스민 혁명’의 바람이 북한에도 확산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미국 스탠퍼드대 한국학 프로그램 창설 열돌을 맞아 24일(현지시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12’를 주제로 스탠퍼드대에서 열린 특별세미나에서 한국과 미국의 전문가들은 중동과 북한의 사정이 다른 만큼 재스민 혁명식 변화를 즉각 북한에서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현 북한 체제가 매우 불안한 상황이라는 데 동의했다.
데이비드 스트라우브 스탠퍼드대 한국학 프로그램 부소장은 “북한이 금방 붕괴하거나 민주화가 되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적어도 수년 혹은 수십년은 걸릴 것”이라며 철저한 주민통제를 이유로 들었다. 신기욱 스탠퍼드대 아태연구소 소장은 “중동의 민주화운동이 곧바로 북한에 영향을 미치긴 힘들지만, 중국에 민주화 바람이 불 경우 북한이 중국의 변화에서 자유롭지는 못할 것”이라며 간접 영향권에 들어 있음을 시사했다. 김형오 전 국회의장은 “장마당에서 외부세계 소식이 암암리에 전해지고 있고, 북아프리카와 중동 사태로 인해 심리적 동요도 있다고 한다”고 말했다. 김학준 <동아일보> 고문은 “김정은이 마지막 통치자가 될 것이며, 이후 북한은 붕괴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이와 별도로 핵문제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현재 스탠퍼드대 객원연구원으로 있는 유명환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이날 “북한 영변지역에 진행중인 경수로 공사는 심각한 안전상의 우려를 야기하고 있다”며 “일부에서는 북한의 핵무기보다 (영변 경수로와 관련된) 핵 안전 문제가 더 긴급한 문제라고 얘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유 장관은 자신의 딸 특채 문제와 관련해 “모든 걸 내 중심적으로 생각한 것”이라며 “내 잘못이고 내 책임”이라고 말했다.
샌프란시스코/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