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중국·인도 불참에 불만
기후변화 국제공조 무너지나
기후변화 국제공조 무너지나
캐나다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협약인 교토의정서 탈퇴 뜻을 밝혔다. 미국이 협약 발효 이전에 발을 뺀 데 이어 발효 이후 첫번째 탈퇴 표명 국가가 나오면서 기후변화를 막으려는 국제사회의 공조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로이터> 통신은 피터 켄트 캐나다 환경부 장관이 12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제17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돌아온 직후 “우리는 교토의정서를 탈퇴할 법적 권리를 발동하려 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탈퇴 시점은 명확히 언급하지 않았다.
더반회의는 폐막일을 넘기는 진통 끝에 지난 11일 2012년에 만료되는 교토의정서의 효력을 5년 더 연장하기로 했다. 하지만 교토의정서에는 미국은 물론 중국과 인도 등 주요 온실가스 배출국들이 참여하지 않고 있고, 캐나다는 이에 대해 불만을 표시해왔다.
중도우파 성향의 집권 보수당 출신 스티븐 하퍼 캐나다 총리는 2012년까지 자국이 온실가스 목표 감축량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 130억6000만달러에 이르는 벌금을 물어야 할 판이라고 불평한다. 또 보수당은 2006년 집권 직후부터 교토의정서가 경제와 에너지산업에 걸림돌이 되기 때문에 협약 준수에 매달리지 않겠다는 태도를 공공연하게 드러냈다. 캐나다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 대비 6% 감축하겠다고 교토의정서에 서명했는데, 석유산업 부문에서 오일샌드 개발이 늘어나면서 이런 감축량을 달성하기 어렵게 됐다. 오일샌드는 원유가 섞인 모래·점토층으로, 이를 정제하려면 상당한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밖에 없다.
캐나다 환경단체 기후행동네트워크 쪽은 “하퍼 총리는 기후변화에 생사가 걸린 사람들의 면전에 침을 뱉었다”며 “이는 국가적 치욕”이라고 비판했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