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회 29명 등 모스크바로
시민참여 확대, 카메라 설치도
시민참여 확대, 카메라 설치도
국제 모니터기구 파견·선거감시 자원봉사단 출범·감시카메라 설치….
부정선거를 막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오는 4일 러시아 대선의 공명선거를 보장해줄까? 지난해 12월 총선 이후 전례없는 부정선거 비난 및 반정부 시위 홍역을 치른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는 또다시 같은 논란에 휘말릴 경우 정권의 정당성이 뿌리째 흔들릴 수 있다. 반면 정정당당한 대선을 치를 경우 과반 이상을 득표해야 하는 1차 투표에서 자칫 당선을 확정짓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러시아 국영 <리아노보스티> 통신은 1일 범유럽 국가들의 민주적인 선거를 감시하는 유럽의회 의원총회(PACE) 감시단 29명이 모스크바에 도착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앞서 29일에는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감시단 160여명이 모스크바에 도착했다. 두 단체는 선거 다음날인 5일께 함께 모니터 결과를 발표한다.
수만명의 러시아 시민들도 자발적으로 대선을 감시하겠다고 서명했다. 모스크바의 부동산중개인 세르게이 라십노프는 <에이피>(AP) 통신에 “나는 이 정권에 반대하지만, 그동안 그것을 충분히 보여주지 못했다”며 결의를 다졌다. 라십노프는 독립 선거감시기구 골로스의 강의에도 참석해 선거감시 방법을 배우기도 했다.
푸틴 역시 대외적으로는 공정한 선거관리에 공을 들이고 있다. 그는 총선 부정선거 이후 전국 9만6000개 투표소에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야당과 반정부 시위대 쪽에서는 여전히 우려가 크다. 감시카메라로 투표소 모든 곳을 볼 수도 없고, 모니터단도 모스크바 등 몇몇 대도시에만 집중되어 있는 탓이다.
장세호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연구교수는 “러시아에서는 푸틴이 총리직을 사임하지 않고 대선을 치르는 것과 같은 광의의 부정선거가 합법이라, 국제사회의 부정선거 의혹을 완전히 불식시킬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