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세로 1심서 징역형 선고 뒤에도
최대정당 자유국민당 영향력 여전
“정치가 민주주의 아닌 사법 독재”
항소 이어 사법시스템 개혁 주장도
최대정당 자유국민당 영향력 여전
“정치가 민주주의 아닌 사법 독재”
항소 이어 사법시스템 개혁 주장도
실비오 베를루스코니(67) 전 이탈리아 총리의 마지막 발악인가, 정계복귀 신호탄인가. 탈세 혐의로 26일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은 베를루스코니 전 총리가 마리오 몬티 총리 정부를 무너뜨리겠다고 위협하며 정계 잔류를 선언했다. 판결 뒤 현지 언론들이 ‘베를루스코니 시대의 종언’을 앞다퉈 보도하고 있는 가운데 최대 정당인 자유국민당(PLD)을 사실상 이끌던 그가 조기총선 가능성을 언급하고 나서 정계에 미칠 파급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베를루스코니 전 총리는 유죄판결 하루 뒤인 27일 밀라노 근처 자택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몬티 정부가 이탈리아를 경기침체 소용돌이로 몰아넣고 있다”며 자유국민당이 몬티 정부에 대한 지지 철회 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불신임 투표를 발의하고 조기 총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기존의 총리 불출마 선언은 그대로 유지했다. 베를루스코니는 유죄판결로 5년간 공직에 출마할 수 없으나,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3심이 끝나야 교도소 수감이 이뤄진다. 따라서 백의종군하면서 자유국민당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은 가능하다. 20년 가까이 정계를 주물러 온 영향력과 풍부한 자금력, 자신이 소유한 미디어셋 그룹의 언론 장악력도 큰 자산이다.
유럽연합 경쟁담당 집행위원 출신의 몬티 총리는 이탈리아의 10년만기 국채 금리가 마지노선인 7%를 넘어서는 등 재정위기가 심각해진 지난해 11월 조르조 나폴리타노 대통령에 의해 총리로 지명됐다.
2013년 4월 차기 총선이 예정돼 있지만, 자유국민당이 지지 철회를 결정하면 조기총선이 가능하다. 특히 몬티 총리가 집권 이후 세금인상, 재정삭감 등 200억유로 규모의 긴축재정을 실시해 국민적인 반발을 사고 있기 때문에 다시 자유국민당이 집권하게 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베를루스코니는 특히 “나에게 일어난 일이 다른 시민들에게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법 시스템을 개혁하겠다”며 결의를 다졌다. 그는 자신이 소유한 텔레비전 채널 에 나와 “우리의 정치는 민주주의가 아닌 사법독재”라고 주장했다. 베를루스코니는 미디어셋 그룹이 판권을 비싸게 사들인 것으로 꾸며 세금을 탈루한 혐의로 징역 4년을 선고받고 사면법에 의해 1년형으로 감형받은 뒤 항소 계획을 밝혔다.
그러나 이탈리아 사법 시스템의 최대 수혜자인 그의 ‘사법 정의’ 외침은 큰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다.
그는 1990년대 후반 세번에 걸쳐 부패 혐의로 모두 6년반의 징역형을 선고받고도 상급법원의 무죄 판결과 공소시효 만료 등의 이유로 법적 책임을 피했다. 그는 또 이른바 ‘붕가붕가 파티’로 잘 알려진 미성년자 성매수 혐의 등에 대해서도 재판을 앞두고 있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대학 등록금과 맞먹는 사립유치원비
■ 대학 등록금과 맞먹는 사립유치원비
■ 나로호, 결국 이달안 발사 불가능
■ 스타일 구기는 ‘애플코리아’
■ “제주올레 성공 이유는 역설적으로 한국이 ‘피로 사회’이기 때문”
■ 진중권 vs 누리꾼 맞장토론…싱겁게 끝났네
■ [화보] 이번 경기는 ‘우리 힘 한데 모아’ 입니다
■ 대학 등록금과 맞먹는 사립유치원비
■ 대학 등록금과 맞먹는 사립유치원비
■ 나로호, 결국 이달안 발사 불가능
■ 스타일 구기는 ‘애플코리아’
■ “제주올레 성공 이유는 역설적으로 한국이 ‘피로 사회’이기 때문”
■ 진중권 vs 누리꾼 맞장토론…싱겁게 끝났네
■ [화보] 이번 경기는 ‘우리 힘 한데 모아’ 입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