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콘클라베 : 바티칸 새 교황 선출하는 비밀회의
독일 등 개혁성향 추기경 지지받는
스콜라 대주교가 초반 약간 우세
‘절대적 1위’ 없어 선출 난항 전망
교황청 부패등 쇄신요구 대두에
보수적 전임교황 임명 사제들이
변화 선택할지 초미의 관심사
새 교황은 주말께 결정될듯
독일 등 개혁성향 추기경 지지받는
스콜라 대주교가 초반 약간 우세
‘절대적 1위’ 없어 선출 난항 전망
교황청 부패등 쇄신요구 대두에
보수적 전임교황 임명 사제들이
변화 선택할지 초미의 관심사
새 교황은 주말께 결정될듯
12일 바티칸 시스티나 성당에서 새 교황을 선출하는 추기경단 비밀회의 ‘콘클라베’가 시작된다. 지난달 사임한 베네딕토 16세의 뒤를 이을 새 교황 후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유력한 선두주자가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바티칸 전문가와 외신들은 그나마 안젤로 스콜라(72) 밀라노 대주교가 초반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전임 교황 선출 때도 유력 후보로 언급된 그는 20세기에 요한 23세 등 3명의 교황을 배출한 ‘베네치아 총대주교’ 출신이다. 다른 이탈리아 추기경들에 견줘 교황청과 교감이 적은 편이어서 미국과 독일 쪽 개혁 성향 추기경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하지만 가톨릭 개혁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 ‘이탈리아인’이라는 정체성은 큰 자산인 동시에 부담이 되고 있다.
266대 교황 선출의 최대 관심사는 ‘멈춰버린 시계’를 다시 돌려줄 교황이 등장할 것이냐다. 교황청은 1963~65년 ‘제2차 바티칸공의회’를 열어 혁명적인 변화를 꾀했다. ‘교회의 사명은 선교가 아니라 인류의 존엄성 증진과 공동선 실현’이라고 선포해 예수 이후 가장 큰 변화를 가져왔다는 평을 받았다.
요한 23세(1958~1963)와 바오로 6세(1963~1978)로 이어지던 거대한 변화의 흐름은 요한 바오로 2세(1978~2005)와 베네딕토 16세(2005~2013)에서 멈췄다. 이후 여성 사제와 사제 결혼, 콘돔 사용, 낙태, 동성결혼 등에 대한 가톨릭의 태도에 변화가 없었다. 반면 가톨릭 내부에서는 성직자 성추행, 교황청의 부패와 권력 암투 등 개혁의 필요성을 드러낸 사건들이 잇따라 터졌다.
변화가 절실한 때이지만, 콘클라베가 변화를 선택할지는 알 수 없다. 콘클라베에 참석한 추기경들은 요한 바오로 2세와 베네딕토 16세가 임명한 이들이다. 설혹 비이탈리아나 비유럽권, 젊은 추기경 중에서 교황이 나온다고 해서 변화를 이끌리라 예견하기도 어렵다. 지금까지 265명의 교황 가운데 이탈리아인이 210명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는데, 비이탈리아인인 폴란드 출신 요한 바오로 2세와 독일 출신의 베네딕토 16세는 정통 보수의 방패막이가 되었다. 반면 이탈리아인인 요한 23세는 80살이 넘는 나이에 제2바티칸공의회를 열어 가톨릭 쇄신의 물꼬를 텄다.
이탈리아 출신인 스콜라와 경쟁하고 있는 유력 교황 후보들은 남미와 아프리카 쪽이 많다. 남미는 전세계에서 가톨릭 인구수가 가장 많은 곳이고, 아프리카는 가톨릭 신도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특히 브라질의 오질루 페드루 셰레르(64) 상파울루 대주교는 스콜라 대주교의 강력한 라이벌로 꼽힌다. 아르헨티나의 레오나르도 산드리(70) 추기경, 가나의 피터 턱슨(65) 추기경도 새 교황 후보군이다. 교황청 주교성 장관인 캐나다의 마르크 우엘레트(69) 추기경은 북미 출신이지만 남미에서도 평판이 좋아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100년간 콘클라베가 5일 이상 지속된 적이 없어, 새 교황은 주말께 결정되리라는 전망이 많다. 그러나 미국의 바티칸 전문가인 존 앨런은 “요제프 라칭거 같은 초반 선두주자가 없는 게 문제”라며 콘클라베가 난항을 겪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전정윤 기자 cho@hani.co.kr
전세계 80살 이하 추기경들 참여
성당 굴뚝 연기로 선출여부 알려 ‘콘클라베’는 12일 오후 전세계 80살 이하 추기경 115명은 붉은 추기경복을 입고 일제히 시스티나 성당으로 걸어 들어가는 장관을 연출한다. ‘쿵’하는 둔탁한 소리와 함께 성당 문이 닫히면 새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가 시작된다. 추기경들은 비밀준수 서약을 하고 첫 투표를 실시한다. 먼저 투표와 개표를 진행할 세명을 선출하고, 나머지 추기경들은 한 명의 이름을 적은 투표용지를 접어 황금 성배 안에 넣는다. 미리 정해진 후보자는 없다. 투표가 끝나면 한 장씩 표를 꺼내 빈 성배에 옮겨 담은 뒤 개표를 한다. 이후 모든 투표용지는 소각된다. 교황이 되려면 출석 추기경 수의 3분의 2 이상을 득표해야 한다. 낮 12시와 오후 6시, 시스티나 성당 굴뚝에는 투표 결과를 세상에 알리는 연기가 올라온다. 검은 연기는 선출 실패를, 흰 연기는 성공을 뜻한다. 둘째 날부터는 오전 2차례, 오후 2차례씩 투표를 한다. 사흘간 교황이 선출되지 않으면, 기도와 토론의 시간을 갖는다. 이어 7차례 추가 투표 뒤에도 교황을 못 뽑으면, 한번 더 기도와 토론을 한다. 30차례 투표 뒤에도 당선자가 없으면, 과반수 득표자로 결정한다. 베네딕토 16세는 4차례, 요한 바오로 2세는 8차례 투표 만에 흰 교황복으로 갈아입고 손에 붉은 추기경들의 입맞춤을 받았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국방부 ‘김병관 질문지’ 작성 새누리당 의원들에 돌렸다
■ 북, ‘정전협정 백지화’ 실제 군사행동 나설까
■ “마지막 배 타고 음식점 차린다 했는데…”
■ 18시간 줄 서 1초간 만난 차베스…화난 듯 잠들어 있었다
■ [시승기] 풀숲에 웅크렸던 재규어가 튀어오르듯…
전세계 80살 이하 추기경들 참여
성당 굴뚝 연기로 선출여부 알려 ‘콘클라베’는 12일 오후 전세계 80살 이하 추기경 115명은 붉은 추기경복을 입고 일제히 시스티나 성당으로 걸어 들어가는 장관을 연출한다. ‘쿵’하는 둔탁한 소리와 함께 성당 문이 닫히면 새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가 시작된다. 추기경들은 비밀준수 서약을 하고 첫 투표를 실시한다. 먼저 투표와 개표를 진행할 세명을 선출하고, 나머지 추기경들은 한 명의 이름을 적은 투표용지를 접어 황금 성배 안에 넣는다. 미리 정해진 후보자는 없다. 투표가 끝나면 한 장씩 표를 꺼내 빈 성배에 옮겨 담은 뒤 개표를 한다. 이후 모든 투표용지는 소각된다. 교황이 되려면 출석 추기경 수의 3분의 2 이상을 득표해야 한다. 낮 12시와 오후 6시, 시스티나 성당 굴뚝에는 투표 결과를 세상에 알리는 연기가 올라온다. 검은 연기는 선출 실패를, 흰 연기는 성공을 뜻한다. 둘째 날부터는 오전 2차례, 오후 2차례씩 투표를 한다. 사흘간 교황이 선출되지 않으면, 기도와 토론의 시간을 갖는다. 이어 7차례 추가 투표 뒤에도 교황을 못 뽑으면, 한번 더 기도와 토론을 한다. 30차례 투표 뒤에도 당선자가 없으면, 과반수 득표자로 결정한다. 베네딕토 16세는 4차례, 요한 바오로 2세는 8차례 투표 만에 흰 교황복으로 갈아입고 손에 붉은 추기경들의 입맞춤을 받았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국방부 ‘김병관 질문지’ 작성 새누리당 의원들에 돌렸다
■ 북, ‘정전협정 백지화’ 실제 군사행동 나설까
■ “마지막 배 타고 음식점 차린다 했는데…”
■ 18시간 줄 서 1초간 만난 차베스…화난 듯 잠들어 있었다
■ [시승기] 풀숲에 웅크렸던 재규어가 튀어오르듯…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