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중 외교부장에 지난 6일 협조 전화…11일엔 오바마와 회동
시진핑 “어느 일방이 세계 혼란 빠뜨려선 안돼” 평화 강조
시진핑 “어느 일방이 세계 혼란 빠뜨려선 안돼” 평화 강조
최악의 위기에 빠진 한반도 정세를 안정시키기 위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한반도 사태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자 유엔이 중재자로 나서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유엔과 미국 백악관은 5일(현지시각) 오후 동시에 성명을 내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11일 백악관에서 만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두 사람이 양자 회동을 하는 것은 2011년 2월말 이후 처음이다.
이번 만남에서는 한반도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엔은 “광범위한 장기적 국제 현안뿐만 아니라 긴급한 현안들을 논의할 것”이라고 발표했고, 백악관도 “시리아 위기를 포함한 핵심 이슈들에 관해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 총장은 6일에는 왕이 중국 외교부장에게 전화를 걸어 한반도 긴장 완화에 협조를 부탁했다고 <신화통신> 등 중국 언론들이 전했다. 반 총장은 “한반도 긴장 국면이 속히 해결돼 통제 불능의 사태로 나아가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왕이 부장은 “중국은 어느 쪽이건 도발적인 언행을 벌이는 것에 반대하며 중국의 문 앞에서 일이 벌어지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7일 하이난성의 휴양지 보아오에서 열린 보아오포럼 개막 연설에서 “어느 일방이 개별적 이익을 위해 지역이나 세계를 혼란에 빠뜨려서는 안 된다”며 최근 한반도 상황과 관련해 북한과 미국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을 해 주목을 끌었다. 시진핑 주석은 또 “각국이 대화와 협상, 평화적 담판으로 모순과 갈등을 해결하면서 상호 관계 발전을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 총장이 미·중과 적극적인 대화에 나서는 것은 한·미와 북한 간의 긴장 국면이 5개월째 접어들었지만 대화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 사정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국제분쟁 중재 의무가 있는 유엔 사무총장으로서 북한에 특사를 보내는 등의 방안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대화를 두려워하지 않지만, 위기라고 해서 섣부른 대화를 시도하지는 않겠다”며 “정부는 국민의 안보 불안감을 증폭해 미국의 특사 또는 중·러의 중재, 한국의 대화 제의 등을 유도하려는 북한의 의도를 간파해 대처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김행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워싱턴 베이징/박현 성연철 특파원, 석진환 기자 hyun21@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류현진, 메이저리그 데뷔 첫승
■ [단독] 학자금 빚에 가압류 ‘3년새 3배’…취업 청년들 눈물
■ 우울한 ‘용’과 ‘문’ …첫승 참 안터지네
■ 청와대, ‘자질 논란’ 윤진숙 임명강행 태세
■ 아이 입막고 때린 어린이집 원장 법정구속
■ 류현진, 메이저리그 데뷔 첫승
■ [단독] 학자금 빚에 가압류 ‘3년새 3배’…취업 청년들 눈물
■ 우울한 ‘용’과 ‘문’ …첫승 참 안터지네
■ 청와대, ‘자질 논란’ 윤진숙 임명강행 태세
■ 아이 입막고 때린 어린이집 원장 법정구속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