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소보내 세르비아계 자치권 인정
유럽연합 가입에도 가속도 붙을 듯
유럽연합 가입에도 가속도 붙을 듯
세르비아 정부가 코소보와의 관계 정상화를 위한 세르비아-코소보 합의안을 오랜 진통 끝에 승인했다. 1999년 코소보 사태 이후 일촉즉발의 화약고 같았던 발칸반도에 평화의 발판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세르비아 정부는 22일 “브뤼셀에서 합의에 이른 관계 정상화 원칙을 수용한다”고 밝혔다. 앞서 세르비아 이비차 다치치 총리와 코소보의 하심 타치 총리는 19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양국의 관계 정상화와 코소보 북부 소수 세르비아계의 광범위한 자치권을 인정하는 합의안을 이끌어낸 바 있다. 이번 합의로 코소보 북부 세르비아계는 독자적인 경찰과 사법권을 인정받게 됐다. 또 두 나라는 서로의 유럽연합(EU) 가입도 반대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세르비아의 숙원 사업이었던 유럽연합 가입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로이터> 통신은 “유럽연합 집행위가 세르비아, 코소보와 유럽연합 가입 회담을 시작하라고 권고했다”고 보도했다. 영국 <비비시>(BBC) 방송도 “유럽 외교장관들이 곧 긍정적인 신호를 보낼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코소보는 2008년 2월17일 독립을 선언했다. 미국과 대부분의 유럽연합 회원국 등 세계 90여개국이 코소보를 독립국가로 인정하고 있지만 세르비아는 이를 거부한 채 긴장감을 유지해왔다. 이 때문에 유럽연합은 코소보와의 관계 정상화를 ‘가입 조건’으로 내걸고 세르비아 정부를 압박해왔다. 세르비아는 이번에도 국내 반발을 의식한 듯 “코소보의 독립을 인정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모호하게 의미를 평가절하했다.
코소보의 다수 알바니아계와 코소보 북부 세르비아계의 반발도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코소보의 90%를 차지하는 알바니아계는 “(경찰·사법권을 인정하는 것은) 발칸반도에 또다시 세르비아공화국의 발판을 마련해주는 것”이라고 발끈했다. 반면 코소보 북부 세르비아계 자치 의원들은 “코소보가 세르비아의 일부로 남아야 하는지, 세르비아 정부가 이번 합의안을 수용할지를 묻는 국민투표를 실시하자”며 반발하고 나섰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체념한 할머니 “총각도 나중에 이런데 오겠지”
■ 국민행복기금 이달 가접수하면 채권추심 중단
■ 낚아야 산다…공연마케팅 ‘생존의 법칙’
■ “아들 살려야”…100kg 콘크리트 들어올린 모정
■ 번지수 잘못 찾은 반미주의자, 대구 어학연수원 ‘폭발물 소동’
■ 체념한 할머니 “총각도 나중에 이런데 오겠지”
■ 국민행복기금 이달 가접수하면 채권추심 중단
■ 낚아야 산다…공연마케팅 ‘생존의 법칙’
■ “아들 살려야”…100kg 콘크리트 들어올린 모정
■ 번지수 잘못 찾은 반미주의자, 대구 어학연수원 ‘폭발물 소동’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