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 81개국 인종차별 의식 보도
“방글라데시·요르단·인도가 최악”
“방글라데시·요르단·인도가 최악”
세계에서 가장 인종 차별 의식이 높은 나라는 방글라데시, 요르단, 인도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높은 교육·경제 수준을 고려할 때 특이하게 인종에 대한 편견이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워싱턴포스트>는, 81개 국가를 대상으로 ‘세계 가치관 조사’(World Values Survey)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종 차별 지도’를 작성해 15일 보도했다. 세계 가치관 조사는 전세계 사회과학자들이 모여 1981년 창립한 비영리단체로 민주주의·성평등·종교·환경·가족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설문을 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변동의 원인을 분석한다.
<워싱턴 포스트>는 ‘이웃이 되길 원하지 않는 이들이 누구냐’는 질문에 ‘다른 인종’이라고 답한 이들의 나라별 비율을 지도에 표시했다. 인종이 다른 이웃을 원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이 높을수록 인종에 대한 편견이 심한 나라이고, 비율이 낮을수록 관용도가 높은 나라다. 응답 비율이 0~4.9%로 차별이 가장 낮은 그룹엔 영국·미국·캐나다·스웨덴·노르웨이·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브라질·아르헨티나 등이 속했다. 남미의 주요 국가들은 대체로 인종에 대한 편견이 낮았는데, 인종에 따른 소득 격차가 큰 베네수엘라와 인근 아이티의 난민이 대거 유입한 도미니카공화국은 응답 비율이 ‘15~19.9%’ 사이로 상대적으로 편견이 강했다. 차별이 가장 심한 나라는 방글라데시(71.7%), 요르단(51.4%), 인도(43.5%) 순이었다. 중국의 특별행정구인 홍콩은 71.8%로 가장 인종적 관용도가 낮았다.
소득·교육 수준이 높으면 인종적 관용도가 높으리라는 예상은 한국과 프랑스에선 들어맞지 않았다. 한국은 3분의 1 이상이 다른 인종의 이웃을 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집트·나이지리아·사우디아라비아·이란·베트남·알바니아 등과 30%대에 속했다. 유럽연합(EU) 국가들 중엔 프랑스가 22.7%로 차별이 가장 심했다. 아시아 나라에선 전반적으로 인종적 편견이 높은 가운데, 파키스탄만이 유일하게 10% 미만에 들어갔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조선·동아 종편 “5·18 북한군 개입”…역사 부정 심각
■ 며느리 친언니를 친구가 성폭행하게 도운 시아버지
■ [화보] 용산 미군기지에 일제 병영시설 있다
■ ‘5·18 역사 왜곡’ 버젓이…일본과 뭐가 다른가
■ 여성운동의 대모’ 박영숙 이사장 타계
■ 조선·동아 종편 “5·18 북한군 개입”…역사 부정 심각
■ 며느리 친언니를 친구가 성폭행하게 도운 시아버지
■ [화보] 용산 미군기지에 일제 병영시설 있다
■ ‘5·18 역사 왜곡’ 버젓이…일본과 뭐가 다른가
■ 여성운동의 대모’ 박영숙 이사장 타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