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정부군 사린가스 사용 확인
신중 입장서 “무기 공급” 선회
국무부 일각 공중폭격 주장도
신중 입장서 “무기 공급” 선회
국무부 일각 공중폭격 주장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시리아 내전과 관련해 반군에 대한 무기 지원을 승인했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1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반군에 공급될 무기는 소형 화기와 탄창, 대탱크 무기 등으로, 반군이 요청한 대공화기 등은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고 <뉴욕 타임스>가 보도했다.
오바마 대통령의 이런 결정이 알려지기에 앞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인 벤 로즈는 콘퍼런스콜(전화브리핑)을 통해 “미 정보기관은 시리아 정부군이 소규모의 화학무기를 반군에 사용해 100~150명이 사망한 사실을 확인했다”며 “시리아 반군의 군사조직인 최고군사위원회(SCM)에 ‘군사적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로즈는 군사적 지원이 무엇을 뜻하는지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지만, 비행금지구역 설정은 사실상 배제한 상태라고 <뉴욕 타임스>가 전했다.
미 정보기관은 죽거나 다친 시리아 반군들의 오줌·혈액·머리카락을 채취해 분석한 결과 이들이 사린가스에 노출됐음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해 8월 시리아 정부군의 화학무기 사용을 ‘레드라인’(금지선)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일이 벌어지면 응분의 조처를 취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동안 영국·프랑스 등은 일찌감치 시리아 정부군이 화학무기를 사용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고, 유럽연합(EU)은 지난 5월27일 시리아 반군에 대한 무기금수 조처를 해제했다. 그러나 이라크전의 장기화에서 쓰라린 교훈을 얻은 오바마 대통령은 반군에 식량과 의약품만 지원하는 등 신중한 태도를 취해왔다. 미국 여론도 직접 개입엔 부정적이다. 최근 <엔비시>(NBC) 방송과 <월스트리트 저널> 공동 여론조사에선 11%만 시리아 반군에 대한 무기 지원을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최근 미 정부는 나라 안팎에서 시리아 사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요르단·이스라엘 등 중동의 우방 국가들은 미국의 뜨뜻미지근한 태도를 비판했다. 존 매케인 공화당 상원의원 같은 매파뿐 아니라 빌 클린턴 전 대통령조차도 반군을 도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존 케리 국무장관을 비롯해 중앙정보국(CIA)과 국방부가 시리아 사태에 적극적인 개입을 요구하고 있다.
국무부 일각에선 시리아 정부군의 전략 지역에 공중폭격을 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상원 외교위원회는 지난달 이미 반군에 무기를 지원하는 안을 통과시켰다. 무엇보다도 최근 시리아 정부군이 레바논의 무장정파 헤즈볼라의 파병에 힘입어 상승세를 타고 있는 것이 오바마가 결심을 굳힌 이유로 꼽힌다. <뉴욕 타임스>는 시리아 정부군이 헤즈볼라와 함께 전략적 요충지인 쿠사이르를 탈환하자 백악관이 긴급회의를 여러 차례 열었다고 전했다.
현재 시리아 이웃 국가들은 정부군-반군으로 팽팽히 나뉘어 각각 무기와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시리아의 오랜 우방국인 러시아와 시아파 국가인 이란, 현재 시아파가 정권을 잡고 있는 이라크는 바샤르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을 돕고 있다. 이란의 영향력 약화를 원하는 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는 반군 편에 서 있다.
그동안 한발 빼고 있던 미국이 이처럼 복잡한 ‘대리전’에 뛰어들 경우 시리아 내전은 새로운 국면으로 넘어갈 것으로 보인다. 2011년 발발한 시리아 내전으로 지금까지 9만3000여명이 목숨을 잃었고, 400만여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원세훈 “종북좌파들이 다시 정권을 잡으려 하는데, 확실히 대응 안 하면…”
■ 20년간 시댁에 비자금 준 남편 “내 돈 내가 쓰는데…”
■ 장관님들은 청와대에서도 그러면서… 왜 우리한테만 이러세요?
■ [미공개 사진] 박근혜 대통령과 박정희 전 대통령의 ‘그해 여름’
■ 여자들이 꼽은 남자들의 ‘여름 꼴불견 패션’ 1위는?
■ 원세훈 “종북좌파들이 다시 정권을 잡으려 하는데, 확실히 대응 안 하면…”
■ 20년간 시댁에 비자금 준 남편 “내 돈 내가 쓰는데…”
■ 장관님들은 청와대에서도 그러면서… 왜 우리한테만 이러세요?
■ [미공개 사진] 박근혜 대통령과 박정희 전 대통령의 ‘그해 여름’
■ 여자들이 꼽은 남자들의 ‘여름 꼴불견 패션’ 1위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