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즈앨런 부사장 마이크 매코널(69)
주목받는 매코널 부즈앨런 부사장
민주·공화 정부서 NSA·DNI 수장
사이버전 강화·영장없는 감청 주도
부즈앨런선 정보기관과 계약 확대
스노든 내부고발 근거 제공하기도
민주·공화 정부서 NSA·DNI 수장
사이버전 강화·영장없는 감청 주도
부즈앨런선 정보기관과 계약 확대
스노든 내부고발 근거 제공하기도
*부즈앨런 : 민간 컨설팅 업체
빌 클린턴과 조지 부시 행정부 시절, 미국 정보기관을 ‘아날로그 도청’에서 ‘디지털 정보감시’ 조직으로 거듭나게 한 선구자. 전략컨설팅기업 부즈 앨런에서 사이버 조직을 구축하고 미 정보기관한테서 막대한 민간 계약을 따낸 주역. 에드워드 스노든(29)을 채용해 미 정부의 개인정보 수집 활동을 폭로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 장본인.
미국 ‘빅 브러더’ 논란의 거대한 순환고리 중심에 서있는 한 남자가 주목을 받고 있다. 스노든이 이미 존재하는 빅 브러더의 행태를 세상에 알린 작은 균열이었다면, 이 남자는 빅 브러더의 탄생과 진화를 떠받친 큰 힘이었다. 전직 국가안보국(NSA)과 국가정보국(DNI) 국장 출신의 부즈 앨런 부사장 마이크 매코넬(69·사진)이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15일 매코넬이 국가 정보기관 수장과 부즈 앨런 부사장 자리를 거듭 오갔다고 보도했다. 빌 클린턴 대통령 시절 미 국가안보국장(1992∼1996)으로 임명됐고, 이후 부즈 앨런 부사장으로 자리를 옮겨 ‘사이버 조직’을 건설했다.
2001년 9·11 테러는 그에게 다시 한번 기회를 열어줬다. 본토 테러 예방에 실패한 조지 부시 대통령은 매코넬에게 미국의 16개 정보기관을 총괄하는 국가정보국장(2007∼2009)을 맡겼다. 그는 이때 정보기관들이 사이버전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도록 했다. 2007년 해외정보감시법 개정도 주도했다. 국외 체류 외국인들의 전화를 감청할 때 영장을 받지 않을 수 있도록 의회에 법개정을 압박했다. 최근 국가안보국의 사생활 침해 논란은 상당부분 당시 법개정에서 비롯됐다.
오바마 대통령이 부시 행정부의 정보팀 유지를 꺼리자, 매코넬은 2009년 다시 부즈 앨런으로 돌아갔다. 국가정보국장 시절, 그가 정보기관에 가져온 큰 변화는 부즈 앨런 사업 확장의 밑거름이었다. 매코넬은 정보기관에 ‘민간’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부즈 앨런은 스노든 같은 젊은 분석가 수천명을 고용했고, 인력난에 허덕이던 정보기관들은 그들을 덥석 받아들였다. 그 덕에 부즈 앨런은 연수익 58억달러 가운데 절반 이상을 군과 정보기관 계약을 통해 벌어들였다. 매코넬도 첫해 410만달러, 지난해 230만달러의 ‘연봉’을 챙겼다.
스노든의 폭로 이후 매코넬과 부즈 앨런의 사업전략에 빨간불이 켜졌다. 정부의 빅 브러더 논란과는 별개로 부즈 앨런도 인력 검증 및 감독 소홀 책임론에 맞딱드렸다. 다이앤 파인스타인 상원 정보위원장은 지난주 “부즈 앨런 같은 회사들이 민감한 국가기밀 정보에 광범위하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입법을 제안했다. <뉴욕타임스>는 다만 “부즈 앨런은 정보기관들이 의지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만들었다. 민간직원들을 기밀 작업에서 배제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다”고 지적했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한겨레 인기기사>
■ 심기불편 청와대 “박 대통령 만난 사람 이재용 부회장이 또…”
■ 고엽제전우회가 전두환 체포에 나선 사연
■ [인터뷰] 예일대 수학과 312년만에 첫 여성교수 부임하는 오희 교수
■ 27개월 지향이의 죽음 알고보니…5명의 ‘나쁜 어른들’ 있었다
■ [화보] 불타는 터키…강제진압과 저항
■ 심기불편 청와대 “박 대통령 만난 사람 이재용 부회장이 또…”
■ 고엽제전우회가 전두환 체포에 나선 사연
■ [인터뷰] 예일대 수학과 312년만에 첫 여성교수 부임하는 오희 교수
■ 27개월 지향이의 죽음 알고보니…5명의 ‘나쁜 어른들’ 있었다
■ [화보] 불타는 터키…강제진압과 저항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