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개월간 10만명 넘게 숨진 시리아 내전이 지난 20일(현지시각) 화학무기 학살 의혹을 계기로 새 국면을 맞고 있다. 정부군과 반군은 서로 상대방이 한 짓이라며 책임 공방을 벌이고 있다. 국제사회는 시리아 정부가 유엔 조사를 수용해야 한다며, 조사 결과 화학무기 사용이 확인되면 미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압박하고 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22일 성명을 내어 “시리아 정권이 다마스쿠스 교외 구타 지역의 화학무기 공격 의혹에 대한 유엔 조사를 지체 없이 수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시리아 정부의 최대 동맹인 러시아도 유엔 조사 필요성에는 동의했다. 러시아 외교부는 이번 사태를 반군의 “계획적 도발”로 규정했다. 그러나 “우리는 객관적으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조사하는 데 관심이 있다”며, 시리아 정부와 유엔 조사단에 구타 지역에 대한 ‘조사 합의’를 촉구했다. 러시아 외교부는 23일 성명에선 반군들이 이번 사건에 대한 객관적인 조사를 방해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미국은 화학무기 사용 여부를 아직 확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이번 일이 사실로 확인된다면 미국의 개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강해질 전망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만약 이번 일이 사실로 드러난다면) 미국이 주목해야 할 매우 위중하고 큰 우려”라고 말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22일 사설에서 화학무기 사용이 증명되면 “미국이 되도록 빨리 자원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젠 사키 미 국무부 대변인은 로랑 파비위스 프랑스 외교장관이 제기한 군사 개입 필요성에 대해서는 일단 언급을 피했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