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목사 연설’ 50돌 기념 연설
카터·클린턴 전 대통령도 동참
카터·클린턴 전 대통령도 동참
“그들이 행진을 함으로써 기회와 교육의 문이 열렸고, 그들의 딸과 아들이 누군가의 옷을 세탁하거나 누군가의 구두를 닦는 일을 넘어 자신을 위한 삶을 꿈꿀 수 있게 됐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28일 오후 3시 워싱턴디시 링컨기념관에서 연설했다. 50년 전 이날, 마틴 루서 킹 목사가 “내겐 꿈이 있습니다”라고 연설한 것과 같은 시각, 같은 장소다. 오바마 대통령은 최근 중동 등에서 드론(무인기) 공격을 벌이는 데 대한 비판 때문에 “내겐 (꿈이 아닌) 드론이 있습니다”라는 비아냥을 듣고 있다. 그러나 ‘일자리와 자유를 위한 워싱턴 대행진’ 50돌 기념식이 열린 이날만큼은 수만명의 미국 시민이 첫 흑인 대통령의 연설을 경청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킹 목사의 연설과 그날 행진에 참가했던 25만명의 꿈에 경의를 표하며, 새 시대를 열기 위해 이 꿈을 재구성하자고 제안했다.
52살인 오바마 대통령은 킹 목사의 역사적 연설이 있던 그때, 두살이었다. 그러나 스스로 연설에서 언급한 ‘그들의 아들들’ 중 하나로, 킹 목사가 염원한 ‘꿈의 표상’이 됐다. 오바마 대통령은 킹 목사가 이끈 50년 전의 행진 이후 제정된 시민권법과 투표권법, 성적 소수자의 인권 향상 등을 언급했다. 당시 메릴랜드대 재학 중 대행진에 참가했고, 이제 은퇴자가 돼 다시 링컨기념관을 찾은 백인 빌 테이트도 이에 동조했다. 그는 <뉴욕 타임스>에 “그때, 50년이 채 안 돼 우리가 흑인 대통령을 재선시킬 거라고 누가 상상이나 했겠나”라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다만 ‘계층 간 경제적 불평등’은 “킹 목사의 꿈이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는 증거”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 나라가 얻은 것을 지키려면 안주가 아닌, 끊임없는 각성이 필요하다”며 행진은 계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는 두 전직 대통령도 참석했다.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은 흑인 후드티 소년 살인 사건 등 뿌리 깊게 남아 있는 인종차별을 비판하며 “우리는 (이런 일에 대해) 마틴 루서 킹이 어떻게 반응했을지 알고 있다”고 성찰을 촉구했다.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은 “불평을 멈추고 완고하게 닫힌 문을 열 때”라며 미래를 위한 새로운 도전을 호소했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