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국제일반

유엔안보리 ‘시리아 화학무기 폐기’ 논의…외교적 해결 전기

등록 2013-09-10 19:57수정 2013-09-11 08:25

러시아 제안 미·영·프·중 동의
반기문 총장 “적극 찬성” 밝혀
미 안팎 ‘시리아 응징론’ 여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이날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와 각각 전화통화를 했으며, 안보리에서 러시아 중재안의 실현 가능성을 논의하자는 결론을 내렸다고 <아에프페> 통신이 한 백악관 관리의 말을 따 보도했다. 이를 의논할 유엔 안보리 회의는 10일 열릴 예정이다.

며칠 전까지만 해도 미국의 미사일 공격이 임박한 듯했던 상황이 급반전한 것은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9일 시리아의 화학무기 폐기안을 내놓으면서부터다. 라브로프 장관은 10일에도 “시리아의 화학무기를 국제사회의 통제에 두기 위해 구체적인 행동계획을 마련하고 있으며,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화학무기금지기구(OPCW), 유엔 안보리와 함께 이 계획을 확정할 것”이라고 밝히며 한층 진전된 방안을 내놓았다.

미국 내에서도 분위기가 급변하고 있다. 데니스 맥도너 백악관 비서실장은 이날 민주당 하원의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군사행동보다는 외교적 노력을 통한 해결을 우선순위에 두고 있다는 방침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그동안 군사공격을 통해 시리아에 ‘레드라인’(금지선)을 넘은 대가를 치르게 해야 한다고 주장해온 강경한 태도에서 크게 달라진 것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이날 오후 예정된 대국민 성명에서 이런 내용을 밝히지 않겠냐는 예측이 나온다. 이에 앞서 오바마 대통령은 9일 러시아의 중재안이 나온 직후 <시엔엔>(CNN) 인터뷰에서 시리아가 화학무기를 포기한다면, 미국이 군사공격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뜻을 밝혔다.

미국 의회도 러시아 정부의 제안에 기민하게 반응했다. 해리 리드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는 11일로 예정됐던 시리아 공격 결의안 상원 표결 일정을 연기했다. 러시아의 제안을 검토한 뒤 미군의 개입 여부를 더 신중히 판단하려는 조처로 풀이된다. 시리아 군사공격을 적극 주장해온 존 매케인(공화·애리조나)도 <시비에스>(CBS)에 나와 “외교적 해결에 대해 매우 회의적이지만 이런 옵션을 거부하는 것은 실수가 될 것”이라며 “일부 의원은 이미 결의안 수정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제사회도 기대감을 드러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9일 러시아의 제안을 적극적으로 찬성한다고 밝혔다. 반 총장은 “시리아에서 화학무기가 사용된 사실이 확인된다면, 시리아에 유엔 화학무기 감독지대를 설치하는 방안을 유엔 안보리에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캐머런 영국 총리는 “엄청난 진전”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로랑 파비위스 프랑스 외무장관은 시리아에 “빠르고, 진지하고, 검증 가능한” 대응을 주문했다.

시리아 역시 애초 러시아의 제안에 대해 화학무기 포기 발언 없이 “환영한다”고만 말했던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갔다. 왈리드 무알렘 시리아 외무장관은 10일 러시아 하원에서 한 연설에서 “시리아 정부는 미국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화학무기를 국제사회의 통제하에 두자는 러시아의 제안을 수용한다”고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하지만 여전히 미국 안팎에선 ‘시리아 응징론’과 ‘러시아 중재안’이 시간 벌기 아니냐는 회의론이 계속 나온다. 수전 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날 워싱턴 뉴아메리카재단 연설에서 “만일 미국이 군사조처를 취하지 않는다면, 더 큰 야만이 뒤따를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테헤란과 평양 등이 며칠 안에 미국이 내릴 결정을 지켜볼 것”이라며 단호한 대처를 주문했다. 토니 블링컨 백악관 국가안보 부보좌관도 “불행하게도 지금까지 행태를 보면 (시리아는) 그닥 신뢰가 가지 않는다”고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스라엘 국제대테러연구소(ICT)는 이날 웹페이지에 ‘시리아의 화학무기-테러리즘 위협’이란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 보고서는 시리아가 화학무기를 1000t가량 보유하고 있으며, 레바논 무장정파인 헤즈볼라, 알카에다 연계 세력 등에 이 무기가 유출될 위험이 높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전정윤 이유주현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