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언론, 보고서 내용 사전취재 보도
“탄약·토양 등 정황근거 제시하지만
정부 책임 직접 적시하진 않을 것” 전쟁범죄조사단도 별도 보고서 내
정부군·반군 모두 학살·고문 저질러
“국제사회 무기지원 중단해야” 촉구 시리아 내전에서 정부군과 반군이 모두 민간인 학살과 살인·고문·성폭행 등 전쟁범죄를 무차별적으로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또 시리아 화학무기 참사를 조사한 유엔(UN) 화학무기 조사단은 참사의 책임이 바샤르 아사드 정권에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 인권이사회의 시리아 전쟁범죄 조사위원회는 5월 중순부터 두달 동안 목격자 258명의 인터뷰와 위성사진 등의 증거를 바탕으로 작성한 보고서를 11일 발표했다. 조사위는 조사 대상인 9건의 대량학살 사건 중에서 8건은 정부군이, 1건은 반군이 저질렀다고 밝혔다. 정부군은 미장악 지역에 탱크와 대포, 전투기를 이용한 무차별적 공격을 퍼부어 많은 민간인들을 숨지게 했다고 보고서가 지적했다. 특히 “정부 감금 아래 사망한 숫자가 현저하게 증가했다”며 정보기관에 의한 고문 행위가 만연해 있다고 짚었다. 또 “13살밖에 안 된 어린이들에 대한 구금과 고문이 보고됐다”며 “정부기관의 관여는 고문 행위가 제도화돼 있음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반군도 정부군 포로들을 즉결 처형하고 어린이들을 징병해 전투에 동원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반군들도 고문을 자행했다”며 “이런 행위가 증가하고 있다는 강한 징후가 있었다”고 밝혔다. 조사위는 시리아 내전의 군사적 해결 가능성은 없다며, 시리아에 대한 무기 지원을 중단하고 극단주의자들의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제어할 조처를 취하라고 국제사회에 촉구했다. 이와 별도로, 지난달 21일 시리아 다마스쿠스 인근 구타에서 발생한 화학무기 참사 사건을 조사한 유엔 화학무기 조사단은 아사드 정권이 독가스 참사에 책임이 있음을 보여주는 많은 증거들을 확보했다고 미국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가 이 조사에 정통한 서방 외교관들의 말을 따서 11일 보도했다. 이 잡지는 “조사단이 아사드 정권이 민간인들을 살해했다고 직접적으로 비난하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사용된 로켓 부품과 탄약, 토양 등에 대한 조사 결과를 근거로 시리아 정부에 책임이 있다는 강한 정황적 논거들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 외교관은 “조사단이 많은 생의학적, 환경적 샘플을 확보한 것으로 안다. 그들은 희생자와 의사, 간호사를 인터뷰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잡지는 유엔 조사단은 16일 반기문 사무총장에게 제출할 보고서에서 화학무기가 사용됐는지에 대해서만 결론을 내릴 뿐이라며, 이 보고서가 현재 미국과 러시아 중심으로 진행 중인 외교적 해결 노력을 근본적으로 바꿀 만한 ‘게임 체인저’는 아니라고 전했다. 한편, 시리아 내전 장기화로 난민들이 인접국들로 몰려들어 레바논의 공립학교에서는 레바논 학생보다 시리아 학생이 더 많은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유엔난민기구는 이 기구에 등록된 시리아 난민 학생과 레바논 교육부에 기록된 레바논 학생 수를 비교한 결과, 이번 학기에 시리아 학생이 최소 30만명으로 레바논 학생(29만명)을 추월했다고 밝혔다. 난민기구는 실제 난민의 60% 정도만 등록을 받은 터라, 실제 시리아 출신 학생은 45만명에 이르리라고 추정했다. 레바논 정부 쪽은 현재 자국에 머물고 있는 시리아인이 130만명에 이르리라고 추정한 바 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탄약·토양 등 정황근거 제시하지만
정부 책임 직접 적시하진 않을 것” 전쟁범죄조사단도 별도 보고서 내
정부군·반군 모두 학살·고문 저질러
“국제사회 무기지원 중단해야” 촉구 시리아 내전에서 정부군과 반군이 모두 민간인 학살과 살인·고문·성폭행 등 전쟁범죄를 무차별적으로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또 시리아 화학무기 참사를 조사한 유엔(UN) 화학무기 조사단은 참사의 책임이 바샤르 아사드 정권에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 인권이사회의 시리아 전쟁범죄 조사위원회는 5월 중순부터 두달 동안 목격자 258명의 인터뷰와 위성사진 등의 증거를 바탕으로 작성한 보고서를 11일 발표했다. 조사위는 조사 대상인 9건의 대량학살 사건 중에서 8건은 정부군이, 1건은 반군이 저질렀다고 밝혔다. 정부군은 미장악 지역에 탱크와 대포, 전투기를 이용한 무차별적 공격을 퍼부어 많은 민간인들을 숨지게 했다고 보고서가 지적했다. 특히 “정부 감금 아래 사망한 숫자가 현저하게 증가했다”며 정보기관에 의한 고문 행위가 만연해 있다고 짚었다. 또 “13살밖에 안 된 어린이들에 대한 구금과 고문이 보고됐다”며 “정부기관의 관여는 고문 행위가 제도화돼 있음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반군도 정부군 포로들을 즉결 처형하고 어린이들을 징병해 전투에 동원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반군들도 고문을 자행했다”며 “이런 행위가 증가하고 있다는 강한 징후가 있었다”고 밝혔다. 조사위는 시리아 내전의 군사적 해결 가능성은 없다며, 시리아에 대한 무기 지원을 중단하고 극단주의자들의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제어할 조처를 취하라고 국제사회에 촉구했다. 이와 별도로, 지난달 21일 시리아 다마스쿠스 인근 구타에서 발생한 화학무기 참사 사건을 조사한 유엔 화학무기 조사단은 아사드 정권이 독가스 참사에 책임이 있음을 보여주는 많은 증거들을 확보했다고 미국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가 이 조사에 정통한 서방 외교관들의 말을 따서 11일 보도했다. 이 잡지는 “조사단이 아사드 정권이 민간인들을 살해했다고 직접적으로 비난하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사용된 로켓 부품과 탄약, 토양 등에 대한 조사 결과를 근거로 시리아 정부에 책임이 있다는 강한 정황적 논거들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 외교관은 “조사단이 많은 생의학적, 환경적 샘플을 확보한 것으로 안다. 그들은 희생자와 의사, 간호사를 인터뷰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잡지는 유엔 조사단은 16일 반기문 사무총장에게 제출할 보고서에서 화학무기가 사용됐는지에 대해서만 결론을 내릴 뿐이라며, 이 보고서가 현재 미국과 러시아 중심으로 진행 중인 외교적 해결 노력을 근본적으로 바꿀 만한 ‘게임 체인저’는 아니라고 전했다. 한편, 시리아 내전 장기화로 난민들이 인접국들로 몰려들어 레바논의 공립학교에서는 레바논 학생보다 시리아 학생이 더 많은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유엔난민기구는 이 기구에 등록된 시리아 난민 학생과 레바논 교육부에 기록된 레바논 학생 수를 비교한 결과, 이번 학기에 시리아 학생이 최소 30만명으로 레바논 학생(29만명)을 추월했다고 밝혔다. 난민기구는 실제 난민의 60% 정도만 등록을 받은 터라, 실제 시리아 출신 학생은 45만명에 이르리라고 추정했다. 레바논 정부 쪽은 현재 자국에 머물고 있는 시리아인이 130만명에 이르리라고 추정한 바 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