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크 핵발전소·우라늄광산 포함
케리 미 국무 “핵협상 불발은 이란 탓”
이란 외무 반박…20일 협상앞 신경전
케리 미 국무 “핵협상 불발은 이란 탓”
이란 외무 반박…20일 협상앞 신경전
이란이 핵 의혹을 해소하고 미국 등의 경제제재 문제를 풀려고 잰걸음에 나섰다. 이란이 11일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핵사찰 허용 등을 담은 ‘포괄적 협력 로드맵’에 합의했다. 이란은 ‘P5+1’(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독일)과 제네바 핵협상을 20일 재개한다.
아마노 유키야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총장과 알리 아크바르 살레히 이란원자력기구 대표는 11일 테헤란에서 6개 조항으로 이뤄진 합의안에 서명했다. 이란은 중부 아라크 지방에 건설중인 중수 생산시설과 남부 반다르 압바스 가친의 우라늄 광산 등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의 사찰을 허용하기로 했다고 영국 <비비시>(BBC) 방송 등이 보도했다.
특히 아라크 중수 생산시설은 지난 7~9일 제네바 핵협상 결렬의 주원인으로 거론된 바 있다. 이 시설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의 사찰이 허용돼, 이란과 P5+1의 협상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이란과 국제원자력기구는 그동안 핵실험 의혹을 받아온 파르친 군사기지 사찰 여부는 언급하지 않았다. 아마노 총장은 “아직 할 일이 많다”며 “양쪽 합의에 따라 앞으로 3개월 동안 협력을 통해 더 많은 진실이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협상 재개를 앞두고 이란에 견제구를 날렸다. 케리 장관은 11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9일 이란에 마지막 제안을 할 때 P5+1 사이에 이견이 없었다”며, 핵 협상에서 합의를 이루지 못한 것은 이란 탓이라고 말했다. 회담 막바지에 프랑스가 아라크 핵시설을 문제삼아 협상 타결을 막았다는 외신 보도에 대한 반박이었다.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이 트위터로 즉각 반격에 나섰다. 자리프 장관은 “제네바에서 (회담이 열린) 7일 오후 6시부터 9일 오후 5시45분에 있었던 일을 바꿀 수는 없다. 그러나 (케리의 발언이) 향후 신뢰를 더 손상시킬 수는 있다”고 맞받았다.
이런 설전은 판깨기보다는 20일 재개될 협상을 앞둔 샅바싸움의 성격이 짙다. 케리 장관은 이날 “무언가 실체가 있어야 반대를 할 수 있다. 무엇이 가능한지 알아보려는 노력을 반대해서는 안 된다”며, 이란과 핵협상에 재를 뿌리려 드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를 강하게 비판했다. 미국의 이란핵 협상 의지가 여전함을 강조한 셈이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