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하순으로 협의중
동북아 영유권 분쟁 등 완화 모색
대북 정책도 방문 주요의제 될듯
동북아 영유권 분쟁 등 완화 모색
대북 정책도 방문 주요의제 될듯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다음달 중·하순께 한국과 중국을 방문하려고 구체적인 협의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워싱턴 외교소식통은 26일(현지시각)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전제하면서도 “다음달 초순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중·하순께 방문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케리 장관의 한국·중국 방문은 지난해 4월 이후 10개월 만이다.
일본은 이번 방문의 대상국 검토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외교소식통은 “케리 장관이 지난해 10월 도쿄에서 열린 미·일안전보장협의위원회(2+2 회의)에 참석했기 때문에 이번에는 일본을 방문하지 않는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이미 일본만 따로 방문한 상황에서 형평성 등을 고려해 일본 방문을 제외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에 대한 미국 정부의 불편한 심기를 반영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일각에선 나오고 있다.
이번 순방에서 다뤄질 주요 현안은 과거사 갈등과 영유권 분쟁으로 고조된 동북아 국가 간 긴장을 완화하는 방안과 대북정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은 한-일 관계도 걱정하고 있지만, 중-일 관계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일 간에는 자칫 우발적인 군사적 충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인 탓이다. 외교소식통은 “케리 장관이 뚜렷한 중재안을 갖고 가긴 힘들 것”이라면서도 “상황 악화를 막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이라고 말했다.
2월 말로 예정된 키리졸브 한·미 연합 군사훈련을 앞두고 북한이 최근 대화 공세를 펼치고 있는 것과 관련한 대응 방안과 장성택 처형 이후 북한 정세 등도 주요 의제가 될 전망이다. 케리 장관은 지난해 말 방송 인터뷰에서 장성택 처형 사건에 대해 김정은 체제의 무모함과 불안정성을 드러낸 것이라는 평가와 함께,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해 당사국들과 긴급하게 공조해야 할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다.
최근 미국 국무부 고위급 인사들이 잇따라 한국을 방문하는 점도 눈길을 끈다. 윌리엄 번스 국무부 부장관이 21일 방한한 데 이어, 대니얼 러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가 26일 방한했으며, 글린 데이비스 대북정책특별대표도 29일 서울을 찾는다. 한반도 정세 파악 및 관리 목적 외에 새로운 대북정책을 논의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