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문제’ 안보리 회부
미국의 동참 요구 거부
핵과 경제 협력, 중국 견제 등 다양한 포석 아래 급속히 가까워진 미국과 인도의 관계가 ‘이란 핵 문제’라는 최대 암초를 만났다.
미국은 이란 핵 문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하는 데 인도가 동참해야 한다며 압박하고 있지만, 인도는 반대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 19일부터 시작된 국제원자력기구(IAEA) 이사회에서 영국과 프랑스, 독일 등 유럽연합 3국은 안보리 회부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이사국들에 배포했으며 미국은 이를 통과시키려 외교전을 벌이고 있다.
이에 대해 나트와르 싱 인도 외무장관은 19일 “우리는 이란 핵문제가 국제원자력기구 체제 안에서 해결되기를 바란다”며 안보리 회부 반대 뜻을 분명히 했다고 인도 언론들이 전했다. 그는 “우리 외교정책은 (미국이 아닌) 뉴델리에서 결정된다”면서 “우리는 역사적으로 이란과 우호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이란의 에너지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 고위 당국자들은 최근 유엔총회에 참석한 만모한 싱 총리와 나트와르 싱 장관을 잇따라 만나 협조를 당부하면서 사실상 “이란이냐, 미국이냐”라는 선택을 요구해왔다. 특히 미국 정부와 의회는 인도가 이란 제재에 동참하지 않으면 지난 7월 미국이 약속한 핵 기술 제공 등 인도에 대한 ‘핵 특혜’를 취소할 것이라고 압박하고 있다.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은 당시 핵확산금지조약(NPT)에 가입하지 않고 핵무기를 보유한 인도에 핵 기술과 연료를 제공하겠다고 밝혀 논란을 일으켰다.
한편, 이란 핵협상 대표인 알리 라리자니는 20일 핵확산금지조약이 강대국들에 좌우된다면 이 조약에서 탈퇴할 것이며, 이란 핵 문제에 대한 지지와 석유 공급 문제를 연계시키겠다고 경고했다고 <아에프페통신>이 보도했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