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일본, 인도 사이의 협력관계가 최근 강화되면서 아시아의 새로운 삼각동맹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고 미국 외교전문지 <포린 폴리시>가 25일 분석했다.
이 잡지는 “세 나라 정상의 생각이 중국의 부상에 대응하고 아시아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인도양-태평양 동맹이 필요하다는 쪽으로 수렴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미-중 간에 ‘신형 대국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우위에 서겠다는 중국의 전략에는 큰 도전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일본 관리들 사이에서는 인도가 아시아에서 중국의 국력이나 영향력을 상쇄할 만한 비중을 가진 유일한 나라라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인도는 지난해 구매력평가(PPP·각 국가의 물가수준을 감안한 국내총생산) 기준으로 볼 때 세계 3위 경제대국으로 성장했다. 이런 성장을 바탕으로 걸프만과 동아시아 간 해상 운송로의 안전을 확보하고 폭력적 극단주의를 격퇴하는 데 중요한 안보 파트너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잡지는 “인도는 아시아에서 현재의 일본처럼 미국의 안보 이해에 중요한 존재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인도에게도 미·일은 중요한 외부 협력자로 여겨지고 있다. 미·일이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필수적인 자본과 기술, 안보를 제공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미·일과의 밀착은 그동안 비동맹 외교를 추구해온 인도에게는 큰 전환을 의미한다. 이 잡지는 “인도가 중국의 경제 및 군사력 급성장을 의식해 미국 주도 안보 네트워크에 다가가고 있다”고 전했다.
이런 상호 인식은 이들 나라의 정상회의에서도 잘 나타난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지난달 말 인도를 방문해 국방·에너지·테러·무역 분야의 협력을 심화하기로 합의했다. 당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두 나라의 협력관계는 이 세기의 성격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구실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해 9월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모디 총리가 일본에서 만난 뒤 공동성명에서 “이 세기에 이 지역과 세계의 성격을 형성할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안보·경제 협력을 심화하겠다고 선언했다. 모디 총리는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등을 거론하면서 “우리 주변에서 18세기의 팽창주의적 사고방식을 보고 있다”고 중국을 비판하기도 했다.
미·일·인도 세 나라는 2011년 말 공식적인 3자 전략 그룹을 출범시켰으며, 지금은 해양 안보를 중심으로 3국간 전략적 협력을 심화하기로 합의한 상태다. 특히 이들 3국의 협력관계에 오스트레일리아가 더해져 ‘4자 전략 협력관계’로 발전할 가능성도 있다. 이 잡지는 “세 나라 지도자들이 현재 4자 전략 협력관계를 재구축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4자 전략 협력관계는 1기 아베 정부 때인 2007년 아베 총리 주도로 만들어진 바 있다. 아베 총리는 당시 중국의 부상에 대응하고자 이를 제안했으며, 회원국 범위를 중국을 제외한 다른 아시아 국가로 확대해 ‘아시아판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로 발전시킨다는 구상을 갖고 있었다. 실제로 네 나라는 그해 대규모 합동군사훈련까지 벌였다. 그러나 중국이 이에 강력히 반발하자, 이듬해 오스트레일리아가 탈퇴하면서 유야무야됐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