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해 주변 동토층과 인구분포
400만 동토 주민 삶 송두리째 흔들리는데
북극해 인접 8국은 원유·천연가스 쟁탈전
“금세기 안 얼음 모두 녹고 큰바다 생길 것”
“바다가 땅을 먹어버리고 있다!”
러시아 북극해 지역 틱시에서 수천년 동안 살아온 에벤키 부족 사람들은 요즘 얼음이 녹고 있는 북극해를 보며 이렇게 외친다. 북극해의 해안선은 해마다 5~6m씩 마을 쪽으로 다가오고 있다. 이곳 사람들은 언젠가는 마을 전체가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걱정에 애태우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북극해의 영구 동토층이 녹으면서 주변 국가들이 얼음 밑에 잠겨 있던 원유와 천연가스 등 ‘자원 쟁탈전’에 나섰지만, 뒤편에선 이 지역 사람들의 삶이 송두리째 흔들리고 있다고 20일 <뉴욕타임스>가 전했다. 북극해에 접한 국가는 러시아, 캐나다, 덴마크, 노르웨이, 미국, 아이슬란드, 스웨덴, 핀란드 등 8개국이다. 북극해 지역에는 약 400만명이 살고 있다.
녹아내리는 마을들=전체 영토의 20%가 북극해 지역 안에 있는 러시아는 이미 국가적인 위기를 겪고 있다. 북부 지역의 주택과 공장, 송유관 등 모든 시설이 영구 동토층의 얼음 위에 지어져 있어, 여러 마을과 도시 전체가 가라앉고 있다. 러시아 북부 탄광도시인 보르쿠타의 주민 리우보브 데니소바는 “아파트 벽이 갈라지고 천정과 창문은 다 뒤틀렸다. 이 지역 집들은 대부분 마찬가지”라고 한숨을 쉬었다.
미국 정부도 알래스카에 있는 이누이트 원주민들의 해변가 마을을 이주시키려고 준비하고 있다. 에벤키와 이누이트 등 북극해의 원주민들은 5천년 넘게 이 곳에 살면서 얼어붙은 바다 위로 썰매를 타고 이동하고 사냥하고 얼음집을 지었지만 지난 10여년 사이에 모든 것이 사라졌다.
기술 개발과 국가 간 경쟁으로 이 지역 원유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많은 유조선들이 오가고 있으며, 원유 누출사고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 올 들어 2천만톤의 원유가 이 지역을 통과해 운송된 것으로 추정된다. 주민들은 이미 유조선이나 LNG운반선이 주 수입원인 어장을 휘젓고 다니거나 어구를 망가뜨리고 있다고 말한다.
석유 열기와 북극해 쟁탈전=지금의 추세가 계속되면 북극해의 빙하는 금세기 안에 모두 사라지고, 이곳은 지중해의 5배나 되는 거대한 바다로 변하게 된다. 얼음 때문에 탐사·채굴이 어려웠던 원유, 가스를 쉽게 생산할 수 있고 운송하기도 쉬워지기 때문에 주변 국가들과 대기업들의 ‘자원 전쟁’이 물밑에서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미국 국립지질연구소는 전세계 미발견 원유·가스의 4분의 1이 북극해 지역에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아직 이 지역의 해양경계선이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주변 8개국은 앞으로 일어날 영유권 분쟁에서 더 넓은 배타적 경제수역(EEZ)을 주장하기 위해 수중음파탐지기를 단 쇄빙선과 잠수함을 동원해 대대적인 탐사를 벌이고 있다.
북극해에서는 아시아와 유럽, 북아메리카와 태평양, 대서양이 맞닿아 있어 북극해가 녹는다면 이들 지역을 최단거리로 잇는 해상교통로로 활용할 수 있다는 기대도 부풀고 있다. 북극해 항로를 개발하면 수에즈운하나 파나마운하에 버금가는 황금 노선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유엔환경프로그램은 2001년엔 북극해 지역의 15%에만 원유·가스 탐사, 항구, 산업시설이 있었지만, 2050년에는 80%가 이런 시설의 영향권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알래스카 출신의 기후학자인 찰스 월포스는 황량한 풍경 대신 곳곳의 유전과 송유관들이 북극의 특징이 될 것이라며 “더이상 북극은 없다”고 말했다.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북극해에서는 아시아와 유럽, 북아메리카와 태평양, 대서양이 맞닿아 있어 북극해가 녹는다면 이들 지역을 최단거리로 잇는 해상교통로로 활용할 수 있다는 기대도 부풀고 있다. 북극해 항로를 개발하면 수에즈운하나 파나마운하에 버금가는 황금 노선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유엔환경프로그램은 2001년엔 북극해 지역의 15%에만 원유·가스 탐사, 항구, 산업시설이 있었지만, 2050년에는 80%가 이런 시설의 영향권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알래스카 출신의 기후학자인 찰스 월포스는 황량한 풍경 대신 곳곳의 유전과 송유관들이 북극의 특징이 될 것이라며 “더이상 북극은 없다”고 말했다.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