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미국 대형로펌, AI변호사 채용
판례 검색해 법률적 조언 업무
판례 검색해 법률적 조언 업무
미국의 대형 법률회사가 인공지능(AI) 변호사를 채용했다고 밝혔다.
법무법인 베이커앤호스테틀러는 ‘로스’라는 이름의 인공지능 변호사를 인간 변호사 50명이 일하는 파산 분야에 배치했다고 밝혔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16일 보도했다. 베이커호앤스틀러는 변호사 900여명이 근무하는 대형 법무법인이다. 로스는 캐나다 토론토대 출신들이 설립한 스타트업인 ‘로스 인텔리전스’가 만든 인공지능이며, 미국 아이비엠(IBM)의 슈퍼 컴퓨터 왓슨을 기반으로 한다. 로스 인텔리전스는 로스가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 변호사”라고 주장한다.
로스가 이번에 맡은 업무는 판례 수천건을 검색해 베이커앤호스테틀러가 수임한 사건에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골라내는 것이다. 통산 이런 업무는 법대를 갓 졸업한 초보 변호사들이 하던 일이었다. 로스 인텔리전스는 로스가 단순한 검색 도구가 아니라고 설명한다. 동료에게 질문하듯이 일상적인 언어로 법률 관련 문제를 로스에게 물어보면 로스가 관련 법률과 사례를 분석해 답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로스는 학습 기능을 이용해 검색 및 연구 기능을 회사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로스 인텔리전스의 최고경영자(CEO)인 앤드루 애루다는 “로스는 (사건) 관련 법률을 제시하고 변호사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변호사들은 로스에게 가설을 세우게 할 수도 있고 로스가 세운 가설에 대해 질문할 수도 있다”며 “지금까지 변호사들은 법률 관련해서 검색에 통계 프로그램을 썼는데, 검색하는데 수시간이 많이 걸렸다”고 말했다. 애루다는 로스를 파산 분야 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일할 수 있도록 교육시키고 있다고도 말했다.
법률회사들은 로스 같은 인공지능을 가까운 미래에 대거 활용할 듯 하다. 법과 기술의 만남에 대한 글을 써온 라이언 칼로는 <워싱턴 포스트>에 “왓슨은 법률이나 의약 그리고 어떤 분야에서든지 전문가의 판단을 도와주는 도구”라며 “결국 이런 시스템을 쓰지 않는게 보고서를 타자기로 치는 것처럼 구식이 될 것이라고 본다.”이라고 말했다.
인공지능 발달이 변호사들 일자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국적 컨설팅 회사 딜로이트는 최근 연구에서 인공지능 같은 기술의 발달이 법률시장에서 일자리 3만1000개 감소에 영향을 미쳤고 앞으로 20년 뒤에는 현재 법률 시장 일자리 39%가 사라질 수 있다는 보고서를 냈다.
다만, 인공지능 변호사는 아직은 보조적인 존재라는 데 대부분의 전문가들 의견은 일치한다. 로스 인텔리전스이 애루다도 “로스 때문에 변호사들이 관련 법률과 자료를 찾는데 시간을 허비하기 보다 의뢰인을 위한 변론과 창조적인 일에 집중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