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이민·난민 행정명령에 반대하는 시위대가 29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서 ‘트럼프는 다시 러시아를 위대하게 만든다!’는 구호와 함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얼굴이 그려진 팻말을 들고 시위를 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슬람 7개국 국민들의 미국 입국을 제한하는 ‘반이민·난민 행정명령’에 대해 당사국뿐 아니라 미국의 맹방인 서유럽 국가들도 깊은 우려와 비판을 쏟아냈다.
28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반이민 행정명령에 유감을 표시하고 ‘제네바 난민협약’ 준수 의무에 대해 설명했다고 독일 총리실 대변인이 밝혔다. 슈테펜 자이베르트 대변인은 “메르켈 총리는 테러리즘에 대한 단호한 싸움이 특정 출신이나 종교를 싸잡아 의심하는 것을 정당화하진 않는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유럽이 난민협약 의무를 지키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난민을 거부한다면 우린 그에 대응해야 한다”며 “불안정하고 불확실한 세계에서 자기중심주의는 ‘막다른 골목’이라고 경고했다.
다른 서방 주요국 지도자들의 트위터 논평도 이어졌다. 파올로 젠틸로니 이탈리아 총리는 “우린 유럽의 가치, 즉 열린 사회, 다양한 정체성, 차별 않기를 지킬 것”이라고 밝혔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박해와 테러, 전쟁을 피해 온 난민들을 캐나다는 종교와 신념에 상관없이 환영한다. 다양성은 우리의 힘이다”라는 메시지를 띄웠다.
입국 제한국으로 지정된 이란, 이라크 등에서는 공식적으로 ‘보복 조처’가 거론되기도 했다. 이란 외무부는 28일 긴급성명을 내어 “트럼프 미 대통령의 모욕적인 행정명령에 이란도 똑같이 대응해 미국인의 이란 입국을 지금처럼 계속 금지한다”고 밝혔다.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30일 트위터 글에서 “(트럼프의) ‘무슬림 금지’는 극단주의자들에게 주는 선물”이라며 “집단차별은 극단주의 선동가들이 자신들을 부풀리려 악용하는 균열을 깊게 만들어 테러리스트 신규 충원을 도와주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이라크 의회 외교위원회도 29일 “이라크는 테러와의 전쟁 최전선에 있는데 이런 식의 대접은 부당하다”며 “정부에 미 정부 결정에 보복 조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조일준 기자
ilj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