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0일 저녁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를 만나고 있다.
북-미 정상회담을 이틀 앞둔 10일 오후 싱가포르에 도착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첫 공식 일정은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와의 양자 회동이었다.
오후 2시35분(현지시각)께 창이국제공항에 내린 김 위원장은 곧바로 숙소인 세인트 리지스 호텔로 가 3시간가량 휴식했다. 저녁 6시25분께 숙소를 떠나 대통령궁인 이스타나에서 30여분간 리 총리와 회담하고 다시 호텔로 돌아왔다.
김 위원장과 리 총리는 회담장 앞에서 웃으며 악수를 나누고 양쪽 배석자들과 인사했다. 북한 쪽에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 리수용 노동당 부위원장, 노광철 인민무력상이 배석했다. 김여정 당 중앙위 제1부부장과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도 보였다.
김 위원장은 머리발언에서 “전세계가 지켜보는 역사적 회담을 위해 싱가포르 정부가 훌륭한 조건과 편의를 제공해줘서 우리 사람들이 아무런 불편 없이 조-미(북-미) 회담을 준비할 수 있었다”며 감사를 표했다. 이어 “조-미 상봉이 성과적으로 진행되면 싱가포르 정부의 노력이 역사적으로 영원히 기록될 것”이라고도 했다.
리 총리는 “싱가포르에서 북-미 정상회담을 열기로 결심해줘서 감사하다”며 “우리는 오랫동안 한반도 정세 발전을 주목해왔다. 한반도에 평화의 날이 꼭 오리라 희망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북-싱가포르 정상 회동은 김 위원장으로서는 본격적인 외교무대 신고식과도 같다. 김 위원장이 2011년 말 집권 뒤 북한을 벗어나 다른 나라 정상과 만난 것은 경계 또는 국경을 맞댄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과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이 전부다. 리 총리는 그 세번째 상대 인물이다.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담판을 앞두고 싱가포르 현지와 국제사회의 분위기를 직접 체감하면서 ‘워밍업’을 하는 의미도 있어 보인다.
리 총리 또한 사상 첫 북-미 정상회담의 ‘호스트’임을 적극 홍보하고 있다. 김 위원장과의 회동 초반 장면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생중계하기도 했다. 이날 국제미디어센터(IMC)를 방문해서는 기자들에게 “역사적 (북-미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데 2000만달러(싱가포르달러·약 161억원)가 소요될 것이다. 이 중 절반은 보안 비용”이라며 “우리가 비용을 기꺼이 부담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로이터> 통신은 북-미 정상회담 계획에 관여하는 소식통을 인용해 김 위원장이 12일 오전 9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난 뒤 오후 2시에 싱가포르를 출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 보도가 맞는다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짧은 회담을 마친 뒤 바로 귀국길에 오르게 된다. 불과 몇시간만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는 것이라면, 이번 회담이 구체적 결과물을 바로 내놓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반대로 사전 협의가 잘돼 짧은 시간 안에 타결에 이를 수도 있다. <로이터>는 그러나 이 일정이 “잠정적”이라고 밝혔다.
싱가포르/황준범 김지은 기자
jaybee@hani.co.kr
[화보] 북미 세기의 회담 D-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