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방부는 19일(현지시각) 오는 24일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국방장관 회담에서 방위비 분담금 문제가 분명히 의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미 방위비 분담 협상이 마무리를 향해가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강하게 인상 압박을 가하는 의미로 풀이된다.
조너선 호프먼 미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한-미 국방장관 회담의 주요 의제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이번 회담의 주요 목표는 한반도 방어를 위해 함께 싸울 우리의 역량 위에 구축해야 하는 (한-미) 관계를 지속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호프먼 대변인은 “한국은 아시아에서 우리의 가장 오래된 동맹이다. 우리는 1950년대 이래 (한국에) 병력을 주둔시켜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그 병력 비용 충당을 위한 합의를 위해 일해야 한다”며 “그 문제는 분명히 우리가 논의할 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은 취임 후 정경두 국방장관과 적어도 3~4차례 만났다”며 “에스퍼 장관이 이번 회담을 고대하고 있다는 것을 안다”고 말했다. 호프먼 대변인은 한-미 연합훈련에 관한 질문에는 “발표할 게 없다”며 구체적 언급을 피했다.
미 국방부가 방위비 분담 문제를 콕 짚어서 “분명히 논의 주제가 될 것”이라고 밝힌 것은 이번 한-미 국방장관 회담에서도 미국 쪽의 압박이 있을 것임을 예고한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국방부도 지난 18일 한-미 국방장관 회담 계획을 언론에 설명하면서, “방위비 분담금은 한-미 협상팀과는 별개로 당연히 논의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날 미 국방부는 방위비 협상이 지연돼 주한미군에서 일하는 한국인 노동자들이 4월1일부터 무급휴직에 들어갈 경우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윌리엄 번 합참 부참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무급휴직자) 숫자와 관련한 대규모, 중간규모, 소규모 옵션들이 있다”며 “필요하다면 노동자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를 매겨야 할 것이다. 생명, 건강, 안전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고 말했다. 무급휴직이 현실화하더라도, 필수 분야는 휴직에서 제외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는 뜻으로 보인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