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그레테 베스타게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부위원장. 연합뉴스
코로나19 회복기에 접어든 중국 기업이 경영난을 겪는 유럽 기업을 대상으로 공격적인 인수·합병(M&A) 채비를 서두르자, 유럽연합(EU)이 각국 정부에 적극적인 저지 개입을 주문했다.
마르그레테 베스타게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부위원장은 12일 <파이낸셜 타임스>(FT) 인터뷰에서 “취약 산업이 인수 대상이 될 수 있다”며 “필요하다면, 국가가 시장 참여자 역할을 하는 데 아무런 문제도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유럽 규제당국은 국가 지원을 받는 기업들이 불공정한 경쟁을 할 수 없도록 역내 국가들에 강력한 권한을 주는 작업을 이미 추진하고 있다. 그는 “사람들은 (외국 기업이) 유럽에 와서 사업을 하는 것을 환영하지만 동시에 불공정한 수단을 써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이런 이중 기능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베스타게르 부위원장은 “가능한 한 빨리” 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그는 지난달 독일과 프랑스로부터 ‘유럽과 중국의 경쟁자들 사이에서 공정한 경쟁의 장을 보장하라’는 압력을 받았고, 6월께 이에 대한 대책을 내놓겠다고 말한 바 있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기업들이 현금 확보에 나서면서, 중국 기업들이 유럽 인수합병 시장에서 싼 물건을 찾아 나서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지난 7일 보도했다. 중국 최대 민영 투자기업인 푸싱그룹은 지난달 “세기에 한번 있을까 말까 한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세계의 자산 가격이 폭락한 상황에서 전 세계에 걸쳐 투자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독일 정부는 유럽 외 자본의 자국 기업 인수시 정부가 개입할 수 있게 하는 조처를 지난 8일 승인했고, 이탈리아와 스페인도 주요 산업에 대한 보호에 나섰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