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이동제한 상황에서 ‘줌’ 등 화상회의 입을 통한 온라인 결혼식 및 각종 행사가 열리고 있다. <비비시> 누리집 갈무리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이동제한으로 지구촌 결혼식 풍경도 달라지고 있다. 미국 등 각국에서 온라인을 통한 결혼식과 결혼 신고가 이뤄지고 있다.
앤드류 쿠오모 미국 뉴욕주 지사가 19일(현지시각) 브리핑에서 전날 온라인 결혼식을 허용하는 행정명령을 내린 사실을 밝혔다. 코로나19로 인한 이동제한으로 결혼식 취소가 잇따르자 행정조처를 통해 주민 불편을 해소한 것이다.
쿠오모 주지사는 이날 브리핑에서 “뉴욕주 주민들이 원격으로 결혼신고증을 얻고, 목회자들이 화상회의를 통해서 결혼식 주례할 수 있는 행정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어 “(화상회의 앱)줌으로 이제 결혼식을 할 수 있다, 그렇지 않냐?”고 말했다. 쿠오모는 또 자신의 트위터에 “남녀들이 이제 인연을 맺지못할 핑계거리가 없어졌음을 의미한다”는 농담을 올리기도 했다.
뉴욕주에서는 뉴욕시에서만 코로나19로 인해 현재까지 1만3천명이 숨졌다. 11월 대선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을 다시 열기” 3단계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는 등 하루 빨리 미 전역에서 봉쇄조처가 해제되기를 원하지만, 뉴욕주는 5월15일까지 이동제한을 연장하기로 했다. 쿠오모 주지사의 온라인 결혼식 허용 조처는 이 같은 상황에서 이뤄졌다.
미국 50개주 가운데 뉴욕주에서 온라인 결혼식을 처음으로 시행한 것은 아니다. 콜로라도주에서도 이미 온라인으로 결혼증명서 신청을 하도록 허가했다. 오하이오에서는 결혼하는 남녀 중 한명이 의료진이거나, 심각한 질환을 앓고 있을 경우 등 특별한 상황에서는 온라인으로 결혼증명서 신청을 하도록 했다. 미국 콜로라도 주에서는 온라인으로 결혼증명서 신청을 하도록 허가했다.
미국 이외에 아랍에미리트연합(UAE)도 최근 온라인 결혼식을 허용했다. 아랍에미리트는 이를 위해 결혼하는 남녀들이 관련 서류들을 제출하는 누리집을 만들기도 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