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지리아 법원이 화상회의앱 ‘줌’을 통해 열린 영상재판에서 ‘사형’을 선고했다. 코로나19 대응책의 일환이지만, 국제인권단체는 “잔인하고 비인간적 재판”이라고 비판했다.
6일(현지시각) <비비시>(BBC)는 지난 4일 나이지리아 라고스의 모지솔라 다다 판사가 고용주의 모친을 살해한 혐의로 기소된 올라레칸 하미드의 재판을 ‘줌’으로 진행하면서 사형을 선고했다고 보도했다.
이날 재판 당사자인 피고인과 판사, 변호인은 각각 따로 있었다. 다다 판사는 라고스 고등법원에, 하미드는 키리키리의 최고보안 감옥에, 변호인은 또 다른 곳에 있었다. 변론과 최후진술, 사형 선고 등이 모두 줌을 통해 이뤄졌다.
2018년 12월 76살 노인을 살해한 혐의 등을 받는 하미드는 “살인하지 않았다”며 무죄를 주장했다. 검찰은 증인 9명을 요청하고 검시관 보고서 등을 공개했다. 다다 판사는 “하나님이 당신의 영혼에 자비를 베풀어 주시기를 바란다”며 사형을 선고했다.
국제인권단체인 휴먼라이츠워치는 <비비시>에 “영상 법정은 코로나19 사태에도 정의에 접근하기 위한 것”이라며 “하지만 재판부가 (영상법정에서) 사형을 선고하는 것은 잘못된 방향으로 가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되돌릴 수 없는 형벌은 구시대적이고 잔인하며 비인간적이다. 폐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이지리아 법상 사형은 주지사들이 승인해야 집행될 수 있다. 국제앰네스티는 나이지리아 사형수가 2000명이 넘지만 2016년 3건이 마지막 사형 집행으로 보고 있다. 6일 현재 나이지리아의 코로나19 확진자는 3145명, 사망자는 103명이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