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현지시각) 독일 베를린에서 앙겔라 메르켈 총리(왼쪽)와 프란치스카 기파이 가족부 장관이 정부의 양성평등 정책 캠페인 포스터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베를린/EPA 연합뉴스
독일이 남녀평등을 촉진하기 위한 국가 계획을 발표했다.
<도이체 벨레> 등 독일 언론은 8일 앙겔라 메르켈 총리와 프란치스카 기파이 가족부 장관이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성평등 촉진을 위한 국가 계획을 채택했다고 보도했다. 독일이 국가 차원의 성평등 계획을 내놓는 것은 처음이다.
남녀 임금차별 철폐와 여성 지위 향상 등을 목표로 9가지 계획이 추진되며, 모든 정부 부처가 각각 목표를 갖고 참여한다. 기파이 장관은 “이것은 하나의 이정표”라며 “모든 부처가 능동적으로 관여할 것이다. 성평등은 더 이상 여성부만의 문제가 아니고, 모든 부처의 문제다”라고 말했다.
이번 계획에선 일과 삶의 균형, 여성들이 집안일 때문에 파트타임으로 일하거나 직장을 갖지 못하는 현실 등에 초점을 맞췄다. 또 공공 역역과 정치·경제 영역에서 여성 관리직 증가 목표를 제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여성 임원을 전체 임원의 30%까지 두도록 한 기업을 현재의 105곳에서 600곳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독일 집권당인 기독민주연합(CDU)이 이번주 초 발표한 대로, 2025년까지 지자체 고위직의 최소 절반을 여성으로 채운다.
유럽 양성평등연구소의 2019년 조사 결과를 보면, 독일은 여성인 메르켈 총리가 15년 동안 집권하고 있지만 남녀평등 수준은 유럽의 평균 이하다. 여성 임금은 남성보다 평균 20% 적고, 기업 여성 임원도 전체 임원의 15% 정도에 그친다. 독일 하원에서 여성 의원은 최근 20년간 가장 낮은 수준이며, 지역 시장 10명 중 9명은 남성이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