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건 외교부 제1차관과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부장관이 10일(현지시각) 워싱턴의 국무부 청사에서 외교차관 회담을 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미국 국무부는 14일(현지시각) 한-미 외교당국간 국장급 소통 채널인 ‘동맹대화’ 신설을 긍정 검토하기로 동의했다고 밝혔다. 동맹대화 신설에 대한 한-미 이견설에 선을 그은 것이다.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동맹대화 신설에 관한 <한겨레>의 질의에 “최종건 외교부 차관과 스티븐 비건 국무부 부장관은 두 정부가 동맹을 강화하기 위한 조처를 지속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며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 차관은 양자 동맹대화를 제안했고 비건 부장관은 긍정적으로 고려하기로 동의했다”고 밝혔다. 또 “미국-한국 동맹은 동아시아 안정과 안보의 기둥이며, 우리의 관계는 무역과 인적 유대를 포함해 여러 차원에 걸친 협력을 포함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최 차관은 지난 10일 워싱턴의 미 국무부 청사에서 비건 부장관을 만나 한-미 외교차관 회담을 한 뒤 기자들에게 두 나라 외교당국간 국장급 실무협의체인 동맹대화(가칭)를 신설하는 데 공감했다고 밝혔다. 동맹대화는 한-미 양자 현안을 양쪽의 실무 국장들이 효율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것으로, 북한 문제를 다루는 한-미 워킹그룹과 별개다. 동맹대화에서는 흩어져 있는 주한미군 기지 이전 문제 등을 다룰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국무부는 한-미 외교차관 회담 결과에 대한 보도자료에서 동맹대화를 언급하지 않았고, ‘미국이 동의하지 않았다’는 국내 언론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최 차관은 귀국 직후 기자들에게 “한-미 입장이 다르지 않다”며 동맹대화 신설을 위한 협의를 10월 중순에 여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국무부의 이날 언론 답변은 동맹대화 신설을 둘러싼 이견설을 가라앉혀, 한-미 동맹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것을 차단하려는 뜻으로 풀이된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